입력 2018.10.16 16:05
암호화폐 광풍이 불어닥친 2017년부터 암호화폐 관련 소비자 피해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의원(바른미래당)이 한국소비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까지 전무했던 암호화폐 관련 소비자상담 건수는 2017년에 89건, 올해 7월까지 111건이 접수됐다. 이 중 피해구제로 이어진 것은 2017년에만 46건이었고, 올해 7월까지는 73건에 불과했다.
16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의동 의원(바른미래당)이 한국소비자원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까지 전무했던 암호화폐 관련 소비자상담 건수는 2017년에 89건, 올해 7월까지 111건이 접수됐다. 이 중 피해구제로 이어진 것은 2017년에만 46건이었고, 올해 7월까지는 73건에 불과했다.

암호화폐 거래소별로 보면 빗썸이 운영하는 비티씨코리아닷컴에 대한 피해 구제 신청이 가장 많았다. 비티씨코리아닷컴에 대한 피해 구제 신청 건수는 57건이었고,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21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코인네스트와 야피안은 각각 7건으로 공동 3위를, 코미드·코빗·코인원은 4건으로 공동 5위에 올랐다.
가상화폐 소비자 피해를 신청한 사유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출금 지연 등 부당행위로 인한 피해가 78건(2016년 23건, 2017년 7월까지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계약 불이행이 25건(2016년 18건, 2017년 7월까지 7건)으로 그 뒤를 따랐다.
빗썸 관계자는 "국내 거래소 중에서 거래량과 회원들이 가장 많아 피해 구제 건수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며 "관련해 미흡한 점이 있다면 시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의동 의원은 "지난해부터 암호화폐와 관련된 소비자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며 "암호화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만큼 정부부처의 조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가상화폐 소비자 피해를 신청한 사유는 암호화폐 거래소 입출금 지연 등 부당행위로 인한 피해가 78건(2016년 23건, 2017년 7월까지 55건)으로 가장 많았고 계약 불이행이 25건(2016년 18건, 2017년 7월까지 7건)으로 그 뒤를 따랐다.
빗썸 관계자는 "국내 거래소 중에서 거래량과 회원들이 가장 많아 피해 구제 건수도 많은 것으로 보인다"며 "관련해 미흡한 점이 있다면 시정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유의동 의원은 "지난해부터 암호화폐와 관련된 소비자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며 "암호화폐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높아진 만큼 정부부처의 조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키워드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 김택진 "리니지M, 사행성 유도 없어" 박철현 기자
- 댓글조작 뭇매에 '오만불손' 질타받는 네이버 이해진 차현아 기자
- "시중은행, 전세자금대출 금리 차이 크다" 유진상 기자
- "카카오 QR결제, 결제는 수월 탈세도 수월?" 유진상 기자
- 케이뱅크, 인터넷전문은행 사전 내정 의혹 유진상 기자
- 금감원, 부당 대출금리 적발하고도 제재 안해 유진상 기자
- "동영상 광고 시청에만 일인당 연간 11GB 소모" 노동균 기자
- [국감 2018] 금감원 ‘공공데이터법 위반’ 유진상 기자
- 이통사 환급액 미수령 사례 65만건… 내 통신사는? 노동균 기자
- '음성정보 수집' 구글은 되고 국내 기업은 불법? 박철현 기자
- 과기부 산하 연구원, '가짜학회'로 10억 낭비 노동균 기자
Copyright © IT Ch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