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탄소배출권 업계에서 ‘더블유(W)재단’이 이슈로 떠올랐다. 이들은 유엔기후변화협약(이하 UNFCCC)과 협력, 탄소배출권 상쇄 캠페인 ‘Cliimate Neutral Now’을 벌이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첫 사업으로 사전예약 신청 시 1인당 1톤의 탄소배출권 상쇄 기여 이벤트를 내세웠다. 12월에는 HOOXI 앱도 선보인다고 한다. W재단은 인터뷰에서 이 앱을 통해 개인도 온실가스를 감축, 유엔기후변화협약 탄소배출권 상쇄 캠페인에 참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사업을 주제로 ICO를 펼쳐 50억원에 가까운 자금을 조달했다고 한다.

필자는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플랫폼에 관심이 아주 많다. 한국탄소금융협회 이사이기도 하다. W 재단에 관심이 생겨 환경부, 은행, 연구원 등 지인에게 이들의 사업 및 인터뷰의 사실관계를 확인해봤다. 답은 ‘거짓인 듯하다’는 것이었다.

UN Carbon offset platform을 보면 W재단의 사업은 UNFCCC에 등록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이들의 사업 유형은 탄소배출 관련 CDM(Clean Development Mechanism, 청정개발체제)방법론에도 없으며, 그 이전에 CDM방법론이 될 수도 없다는 것이 요지다.

개인의 탄소배출 감축 여부를 검증하는 것도 문제다. W재단의 HOOXI 앱으로는 간소배출 감축을 인정받지 못한다. 그저 ‘UN의 탄소중립 캠페인 프로세스를 따른다’는 정도로 가져다 쓴 것일 뿐이라는 답변이었다.

환경부 역시 모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개인에게 탄소배출권을 할당하는 것을 W재단과 전혀 논의한 바 없으며 실현 불가능한 사업’이라고 일축했다. 이에 W재단 측은 갑자기 말을 바꿔 ‘탄소배출권 할당 못 받아도 상관없다’라는 인터뷰를 다시 언론과 진행했다.

이런 정황들을 종합해 판단했을 때, W재단의 ICO는 필자가 꾸준히 주의해야 한다고 주장해온 ‘아름다운 미래를 상상하게 할 뿐, 현실성 없는 수익 모델을 제시하는 ICO’로 보인다. 경계해야 한다는 의미다.

탄소배출권을 다루는 사업은 대부분 ‘개인이 에너지 소비량을 줄였을 때 지자체 혹은 정부가 주는 지원금 보상’을 다룬다. 하지만, 이런 사업은 서울시를 포함해 이미 수많은 지자체에서 실시하고 있다. 지자체가 굳이 W재단같은 곳과 손을 잡고 탄소배출권 관련 사업을 진행할 이유가 없다.

W재단의 프로젝트보다는, ICO 없이 기본에 집중하는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거래 플랫폼 ‘CCET(Certified Carbon Emission Transaction)’ 프로젝트가 훨씬 더 구체적, 현실적이라고 본다.

CCET의 아이디어는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온실가스 감축 프로그램 CDM에 의한 탄소배출권을 ▲블록체인으로 시스템화 ▲스마트 컨트랙트 (Smart Contract)에 접목해 탄소배출권 거래 생태계를 구현하는 것이다.

CCET 프로젝트는 CDM은 물론 파리 기후변화체제 협정(Paris New Climate Regime & Agreement)에도 의거한다.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 개발과 행동의 일환으로 유엔과 각국 정부, NGO (Non-Governmental Organization)나 공익재단등과 협력 관계도 유지하고 있다. 의무적 시장의 탄소배출권 (CERs,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거래 메커니즘의 실질적 해결 방안도 제시한다.

CCET 프로젝트 플랫폼의 핵심 구현 기술은 ▲Energy Management System (EMS) & Energy Saving Measurement Instrument (ESMI) ▲Decentralized Automous Exchange (DAX)다.

EMS & ESMI는 탄소배출권 획득을 위한 검증 프로그램을 MRV, 즉 ‘측정(Measurable)·보고(Reportable)·검증(Verifiable)’가능하도록 프로그래밍한 시스템이다. DAX는 탈중앙화 자동거래 시스템으로 고유 암호화 기술 6개와 난수 생성 프로그램을 탑재, 해킹을 방지한다.

CCET 프로젝트는 한국과 싱가폴, 스위스와 미국을 포함해 전세계 6개국 이상에 거점을 마련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전세계 탄소배출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에너지와 교통부문에서의 절감을 목표로 한다.

CCET 프로젝트는 대기업 및 기관 위주 에너지 생산은 물론 소규모 에너지 전달 시스템, 분산형 운송수단 연계 네트워크를 분석해 온실가스 절감 정보를 얻는다. CDM프로그램 방법론을 적용해 탄소배출권으로 치환하고, 이를 블록체인으로 관리하는 생태계를 만든다.

이들은 장기적으로 모든 시장 참여자가 네트워크 노드(상점, 금융기관 등)에서 토큰을 쓸 수 있도록 구현할 예정이다.

CCET는 프로젝트 초기단계로 ICO를 할 예정이 없다고 밝혔다. 만일 ICO를 한다고 하더라도, 엄연히 프로젝트 현실화 이후에나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이들은 기술 개발 설계와 특허 출원을 마쳤고, 11월 현재 기술을 실험 중이다. 예정대로라면, 2020년 상반기에는 UNFCCC 규정을 만족하는 탄소배출권 블록체인 플랫폼이 완성될 예정이다.

강조한다. 필자는 CCET와 아무 이해관계가 없다. 이미 많은 독자들이 알고 있겠지만, 필자는 2015년 코인피 자문 건(이미 사임함)외에는 암호화폐 혹은 블록체인 관련 기업에 투자한 적도, 이익에 관여한 적도 없다.

그저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플랫폼에 관심이 많고 이 부문에 몸 담고 있기에, CCET의 비전과 사업에 공감하기 때문에 소개하는 것이다. 굳이 말하자면 블록체인 탄소배출권 플랫폼의 나쁜 예로 W재단을, 좋은 예로 CCET를 들수 있다고 생각한다.

※ 외부필자의 원고는 IT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홍기훈 교수(PhD, CFA, FRM)는 홍익대 경영대 재무전공 교수로 재직 중입니다. 학계에 오기 전 대학자산운용펀드, 투자은행, 중앙은행 등에 근무하며 금융 실무경력을 쌓았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 경제학박사를 마치고 자본시장연구원과 시드니공과대(University of Technology, Sydney) 경영대에서 근무했습니다.

주 연구분야는 자산운용, 위험관리, 대체투자입니다. 현재는 중소기업 분석을 전문으로 하는 우베멘토의 리서치 자문과 금융위원회 테크자문단을 포함하여 현업 및 정책적으로 다양한 자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