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쇼핑과 플랫폼 업체 등 국내 IT업계가 모바일 광고 플랫폼에 주목하고 있다. 구매 데이터와 이용자 행동 패턴 정보 등을 바탕으로 이용자가 보다 빠르게 관심을 가질만한 상품을 추천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인공지능(AI)과 머신러닝 등으로 고도화한 광고 플랫폼을 통해 부가적인 광고 수수료 수익을 올릴 수 있을 뿐만아니라 메신저와 커머스 등 본래 서비스 이용자의 충성도를 높이는 데도 크게 도움이 된다는 분석이다.

위메프는 19일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광고를 진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AI 광고 플랫폼인 위메프앰프(AMP)를 선보였다.

예를 들어 A라는 이용자가 위메프에서 강아지 목줄을 구매했다면, 위메프앰프는 A에게 강아지 용품 광고를 노출한다. 단순 검색어 기반 데이터가 아닌, 실제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광고를 집행한다는 점에서 이용자의 니즈를 정확히 포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검색어 기반 광고는 실제로 구매하지 않고 상품 검색만 했어도 광고로 상품이 노출돼 실제 이용자 니즈와는 거리가 있다.

또한 위메프에 입점한 판매자가 아니어도 위메프앰프를 통해 광고를 집행할 수 있다는 점이 차별화 지점이다. 위메프의 구매 데이터를 이용, 자사 판매 상품을 살 가능성이 높은 이들에게 광고를 효과적으로 집행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위메프도 광고 수수료로 부가 수익을 기대할 수 있다.

광고 플랫폼에 공을 들이는 것은 온라인 쇼핑업계 뿐만은 아니다.

최근 카카오는 카카오톡 이용자의 행동 패턴과 수요 등을 분석해 이용자 맞춤 상품과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노출하는 AI 기반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이를 기반으로 카카오는 올해 2분기 중 카카오톡 내 AI 기반 신규 광고 플랫폼을 도입할 예정이다.

카카오톡 광고 플랫폼을 통해 이용자의 선호 브랜드를 쉽게 발견하고 페이 서비스를 통한 간편 결제까지 가능토록 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각 브랜드의 홍보성 메시지 전달에 이용되는 카카오톡 내 플러스친구. / 카카오 홈페이지 갈무리
현재 각 브랜드의 홍보성 메시지 전달에 이용되는 카카오톡 내 플러스친구. / 카카오 홈페이지 갈무리
이외에도 모바일 플랫폼 서비스 화시인 라인플러스도 올해 중 태국과 대만, 일본 등 해외 시장을 겨냥해 인공지능 기반 모바일 광고 플랫폼을 고도화할 계획이다. 라인플러스 측은 다만 "도입 시점 등 구체적인 계획은 정해지지 않았다"고 전했다.

◇ 광고 공들이는 이유? "수수료·충성도 높은 고객 확보" 일거양득

이들 기업들이 모바일 광고 플랫폼에 공을 들이는 이유는 모바일 광고 시장의 확대 추세도 한 몫한다.

광고의 중심이 온전히 모바일로 넘어온만큼, 모바일 중심 IT 서비스 업체들이 광고 플랫폼에도 공을 들이는 자연스러운 수순이라는 분석이다.

19일 제일기획이 발표한 ‘2018년 대한민국 광고비 결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총 광고비는 11조7020억원이었다.

매체 별 광고비 비중을 살펴보면 모바일 광고가 2조8011억원으로 1위를 기록했는데, 지난해 대비 26.4%나 증가했다. 특히 모바일과 PC를 합친 디지털 광고비가 1년 만에 14.4%나 늘어난 4조3935억원으로, TV와 라디오를 합친 방송매체를 추월했다.

IT업계에서는 광고 매출이 새로운 ‘캐시카우(Cash Cow)’로 떠오르고 있다. 카카오의 경우 지난해 4분기 실적 발표에서 예상보다 부진한 성적을 거뒀지만 광고 부문만큼은 성장세를 이어간다. 카카오는 지난 4분기 광고 플랫폼 매출로 전분기 대비 9%, 전년동기 대비 14% 증가한 1817억원을 기록했다.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는 "광고 플랫폼 도입으로 오랜 시간 준비하고 테스트한 경험을 살려 20% 이상의 광고매출 성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광고 플랫폼의 고도화는 본연의 서비스 충성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도 꼽힌다.

위메프 관계자는 "입점하지 않은 판매자도 위메프 광고 플랫폼을 이용할 수 있도록 열어둠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위메프에 더 많은 판매자가 입점하도록 유도할 예정"이라며 "향후 위메프 입점 판매자에게만 제공되는 광고 플랫폼 이용 혜택도 늘려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카카오가 광고에 공을 들이는 이유도 결국 카카오톡이라는 플랫폼 안에서 콘텐츠 소비, 쇼핑, 구매, 결제까지 이용자의 니즈를 원스톱으로 지원하기 위한 목적이다. 광고를 매개로 카카오톡 내 각종 서비스를 더욱 공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카카오 측은 "이용자가 마음에 드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있다면 카카오톡 안에서 간편하게 결제할 수 있다"며 "카카오톡 서비스 안에서 해당 브랜드와의 지속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도와주게 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