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의 ‘입는 디스플레이’의 단점을 해결한 새로운 기술이 국내 연구진의 기술로 개발됐다. 스스로 전기를 생산하고 일반 옷처럼 물세탁이 가능한 것이 특징으로, 그동안 실험실 단계에 불과했던 ‘입는 디스플레이’의 상용화 물꼬를 틀 전망이다.

KAIST-전남대 공동 연구팀이 스스로 발전하고 세탁도 가능한 차세대 ‘입는 디스플레이’(사진)를 개발했다. / KAIST 제공
KAIST-전남대 공동 연구팀이 스스로 발전하고 세탁도 가능한 차세대 ‘입는 디스플레이’(사진)를 개발했다. / KAIST 제공
KAIST(한국과학기술원) 전기및전자공학부 최경철 교수와 전남대학교 의류학과 조석호 교수의 공동 연구팀이 21일 기존 방식과 차별화된 새로운 입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 방식은 OLED가 구동하기 위해 별도의 외부 전원이 따로 필요하며, 방수 기능이 없어 오염돼도 일반적인 물세탁이 불가능했다. 이번 신기술은 플라스틱 기판 대신 옷감을 직접 기판으로 사용하고, 그 위에 태양광으로 스스로 전력을 생산하는 고분자 태양전지(PSC)와 초저전력 OLED를 직접 얹어 디스플레이를 구성했다. 수분 및 습기를 차단하는 봉지막 기술로 태양전지와 OLED를 보호해 일반 옷처럼 물세탁이 가능하다.

특히 이번 새로운 입는 디스플레이는 세탁하거나 최소 3㎜의 곡률로 휘어져도 디스플레이 기능이 유지된다. 연구팀에 따르면 일주일마다 한 번씩 세탁하고 기계적인 스트레스를 가해도 30일 이후 태양전지와 OLED가 각각 98%, 94%의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경철 교수는 "기존의 플라스틱 기판 기반의 웨어러블 전자소자 및 디스플레이 연구와 달리 일상생활에 입는 옷감을 기판으로 활용해 세탁이 가능하고 외부 전원 없이 고분자 태양전지로 디스플레이를 구동하는 전자소자 모듈을 구현했다"라며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자가 구동 및 세탁이 가능한, 전기 충전이 필요 없는 진정한 의미의 입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기술 시대를 열었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추진하는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과 교육부 BK21 지원사업으로 수행됐다. 또한, 국제 학술지 ‘에너지&인바이런멘탈 사이언스(Energy and Environmental Science)’의 1월 18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으며, 우수성을 인정받아 뒤표지 논문으로로 선정됐다.

차세대 입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KAIST-전남대 공동 연구팀(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정은교 연구원, 최경철 교수, 조석호 교수, 전용민 연구원). / KAIST 제공
차세대 입는 디스플레이를 개발한 KAIST-전남대 공동 연구팀(오른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정은교 연구원, 최경철 교수, 조석호 교수, 전용민 연구원). / KAIST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