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세계 최초 5G 상용화로 수십 수백억개의 사물이 서로 연결되는 ‘초연결 시대’의 막이 오르면서 융합보안 시장도 새로운 전기를 맞을 전망이다.

IoT 이미지. / IT조선DB
IoT 이미지. / IT조선DB
5G는 단순히 데이터 다운로드 속도만 빨라진 기술이 아니다. 초고속·초저지연·초고용량 세 가지 특성을 지닌 통신 기술로,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인 스마트 시티나 자율주행, 사물인터넷(IoT) 등을 가속할 기반 기술로 꼽힌다.

하지만, 과거보다 복잡한 데이터 송·수신 환경과 늘어나는 IoT 기기는 그만큼 보안 위협이 되는 지점도 많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미 IoT 기기를 통한 분산시스템거부(디도스, DDoS) 공격은 온도조절기, 배전망, 자동차 등을 노리기 시작했다. 5G 시대에는 해커에 장악 당한 ‘좀비 IoT 기기’ 규모가 더 커지고, 이에 따른 피해도 산더미처럼 불어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지난해 11월 발생한 KT 통신구 화재로 인한 장애가 만약 5G 시대에도 되풀이된다면 공장이 멈추고, 자율주행차가 오작동하면서 인명피해까지 우려되는 끔찍한 시나리오가 쓰여지지 말라는 법도 없다. 보안에 대한 사전 고민 없이 쌓아올린 인프라가 사상누각임을 다시 한 번 강조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오용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보호정책관은 3월 28일 열린 글로벌 정보보호 트렌드 세미나에서 "5G 상용화는 통신에 국한된 게 아니라 제조, 유통, 일반 서비스까지 산업 전반과 연계해 변화를 수반한다"며 "그 접점에서 발생하는 보안 우려 해소가 관건"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5G 세계 최초 타이틀에 집착해 앞만 보며 달려온 정부도 뒤늦게나마 보안에 대한 우려를 인식하기 시작했다. 과기정통부는 8일 ‘5G 플러스(+)’ 전략을 발표할 예정인데, 앞서 발표한 기존 8대 선도산업(스마트공장·바이오헬스·핀테크·미래자동차·스마트시티·스마트팜·에너지신산업·드론)에 정보보호와 엣지컴퓨팅을 추가하기로 했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국민 생활에 밀접한 6대 분야로 ▲자율주행차 ▲재난·안전 ▲디지털 헬스케어 ▲실감 콘텐츠 ▲스마트 팩토리 ▲스마트 교통·물류 등을 선정하고, 융합산업 거버넌스 체계 구축과 보안 모델 발굴, 융합 제품 보안 내재화 등의 대책을 5월까지 마련할 계획이다. 또 5G 코어망에 대한 비정상 공격 탐지와 대응 기술, IoT 보안 취약점 점검 서비스 등을 통해 융합환경의 보안을 높여나갈 방침이다.

민간 부문에서도 다양한 산업군에 걸쳐 IoT와 정보기술(IT), 운영기술(OT)을 망라하는 융합보안 수요가 급증할 것이란 관측에 힘이 실린다. 현재 이동통신사에서 추진 중인 양자암호를 비롯해 양자난수생성기(QRNG)와 같은 하드웨어 기반 IoT 보안 솔루션, 스마트 팩토리나 사회기반시설(ICS)에 적용하는 통합 보안 솔루션의 급부상이 점쳐진다.

시장조사업체 리서치앤마켓은 2023년까지 5G 관련 보안 시장 규모가 75억3000만달러(8조5700억원) 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IoT와 데이터 보호 분야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가상현실(VR)이나 보이스오버5G(Vo5G)와 같은 응용 분야로도 적용이 확대될 것으로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