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의 스마트폰 국내 생산 중단은 사업 환경이 갈수록 악화된 가운데 어쩔 수 없는 결정으로 평가됐다. 총체적 난국을 헤쳐나가려 그간 남겨두고 가능하면 쓰지 않으려던 최후의 카드를 빼들었다는 분석이다.

경영상 합리적인 결정임에 틀림없다. 하지만 후유증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생산라인 이전에 뒤따를 구조조정 과정에서 노사 문제 발생이 예상된다.

스마트폰 시장 포화 및 수요 감소, 중국 스마트폰 업계 급성장과 15분기 이상 이어진 적자에 이르기까지, LG전자 MC(Mobile Communication)사업부는 사중고에 시달렸다. 적자 규모만 3조원이 넘는 가운데 LG전자 스마트폰 경쟁력은 급격히 약해졌다.

LG전자 스마트폰 최신작 G8씽큐. / LG전자 제공
LG전자 스마트폰 최신작 G8씽큐. / LG전자 제공
스마트폰 생산 기지 해외 이전은 이를 해결할 묘수라는 평가가 나온다. 먼저 최저 임금이 한국보다 훨씬 싼 해외로 생산 기지를 이전하면 스마트폰 제작 원가를 절감, 수익을 노릴 수 있다.

주 이전 지역이 될 베트남만 해도 2019년 월 최저임금은 한화 20만원선이다, 174만원인 한국 월 최저임금의 12%에 불과하다. 공장 증설 시 현지 정부의 세제 혜택도 기대할 수 있다.

원가 절감을 통해 스마트폰 가격을 낮추면 가격 경쟁력도 따라온다. 스마트폰 생산 후 현지 시장에 바로 투입하면 시장 변화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다. LG전자는 스마트폰 생산 시설을 브라질에도 마련할 것으로 알려졌다. 브라질을 포함한 중남미는 스마트폰 수요가 느는 신흥 시장이자 블루 오션으로 꼽힌다.

불가피한 결정임에도 불구하고 LG전자는 비판에 직면할 전망이다. 생산라인 해외 이전은 늘 일자리 축소 비판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LG전자는 이러한 이유로 기존 평택 휴대폰 공장 관련 인력의 재배치를 고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 청주 등 다른 사업부 공장으로의 재배치가 예상됐다.

일부는 이전 대상인 베트남, 브라질 공장에 재배치할 것으로 보인다. 현지 생산라인 안정화에 국내 인력 파견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LG전자는 ‘노사’라는 말보다 ‘노경’이라는 용어를 쓸 정도로 노조와의 관계가 비교적 좋은 기업이다. 일부 갈등은 있겠지만 원만한 협의가 예상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