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인공지능(AI) 및 빅데이터를 활용한 신약개발을 위해 인공지능·신약 개발 전문가로 이루어진 6개 연구팀과 운영관리기관을 구성하고 향후 3년간 258억원을 투자한다.

 . / 조선DB
. / 조선DB
13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보건복지부와 함께 이 같은 내용을 담은 ‘AI활용 신약개발 활성화 사업 방안’을 발표했다.

이번 사업은 후보물질 도출, 임상시험 등 신약개발 단계별로 맞춤형 AI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 내용이다. 기술개발 효과가 가장 좋을 것으로 판단되는 후보물질 발굴, 신약 재창출, 스마트 약물감시 3개 분야를 선도적으로 개발한다. 정부는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단축한다는 목표다.

이번 사업은 5월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전략의 후속 조치 일환이다. 당시 정부는 5대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계획(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데이터 중심병원, 신약 후보물질 빅데이터, 바이오특허 빅데이터, 공공기관 빅데이터 등)을 밝혔다.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신약 개발 첫 단계인 ‘신약 후보물질의 발굴’을 돕는 인공지능 플랫폼 개발을 위해 아론티어, 중앙대학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이화여자대학교 등 4개 팀이 연구를 수행한다.

아론티어는 서울 아산병원 유전체 데이터, 간(肝) 오가노이드 실험 데이터 활용해 폐암·뇌암 등 치료제 개발 플랫폼을 개발한다. 중앙대는 한국화학연구원 화합물 데이터를 바탕으로 질병 치료 단서가 되는 단백질을 예측하고 퇴행성 뇌질환에 특화된 플랫폼 개발을 수행한다.

대구경북첨복재단은 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모델을 만들고, 유한양행 주요 제약사 화합물 데이터를 활용하고 이를 발전시켜 표적 항암제 개발 플랫폼을 구축한다. 이화여대는 항암제, 섬유화 치료제를 연구한다. 또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슈퍼컴퓨팅 인프라를 활용한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도 목표로 한다.

이미 개발된 의약품을 활용한 신약 개발 방법인 ‘신약 재창출’을 지원하기 위한 연구 역시 진행된다. 재창출된 신약은 기존 임상 허가를 통해 안전성이 검증되었던 약품인만큼 추가 임상기간이 짧아 저비용 고효율의 장점이 있다.

신약 재창출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해 한국과학기술원 연구팀은 기존 약물 작용기전을 모사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실험 검증 등을 통해 플랫폼을 발전시킨다.

또 의약품 시판 후에 이뤄졌던 기존 사후·수동적 약물 감시체계를 보완하기 위해 서울 아산병원은 면역항암제 빅데이터를 집중 학습하고 약물 이상 반응 조기 예측과 신속 대처를 위한 약물 감시 지원 시스템을 구축한다.

6개의 연구과제를 지원·관리하고 개발된 인공지능 플랫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은 빅데이터 확보·관리, 민간 공개를 위한 시스템 구축·운영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플랫폼 구축의 효율성 제고가 기대된다.

고서곤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본 사업이 성공적으로 추진되면 신약개발 기간을 최대 절반(15년 → 7~8년)까지 단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개발된 플랫폼은 연구자·기업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공개할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업이 종료된 후에도 연구기관이 소유권을 보유해 플랫폼이 계속 최신화되고 활용될 수 있도록 조치할 계획이다"라며 "향후 몇 년이 우리에게 신약개발 분야의 새로운 도약 시기다"라고 강조했다. 또 "신약개발과 인공지능 융합을 적극 지원해 바이오헬스 분야 성공사례를 만들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