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와 보건복지부가 250억원의 예산을 투입, ‘돌봄로봇’ 개발 및 보급확산에 나선다. 산업부가 제품을 만들고 복지부는 보급 서비스 모델을 만든다. 개발과 보급에 차질이 없도록 인허가와 안전성 평가기준도 새로 마련한다. 부담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리스와 렌탈서비스와 같은 금융서비스도 제공한다.
두 부처는 17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에서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을 열어 이같은 내용의 돌봄로봇 개발 및 보급 확대 계획을 밝혔다. 돌봄로봇은 노인과 장애인의 일상을 돕고 환자의 간병을 돕는다.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이 17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에서 발족했다. / 김준배 기자
돌봄로봇 네트워크 포럼이 17일 서울 양재동 더케이호텔서울에서 발족했다. / 김준배 기자
이날 양 부처가 발표한 ‘돌봄로봇 협업사업’에 따르면 산업부와 복지부는 2022년까지 각각 153억원과 1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로봇 및 서비스모델을 찾는다. 산업부는 2012년까지 ‘돌봄로봇 공통제품기술개발’ 사업명으로 욕창예방·배설·식사·이승 등 4종의 로봇을 개발한다. 복지부는 2022년가지 4년간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 명칭으로 로봇 기술적합성 재고 연구와 서비스 모델을 만들기 위한 사용 가이드라인 및 비용 효과성 검증에 뛰어든다.

양 부처는 유기적 협업을 위해 유관기관과 공동으로 스마트 돌봄로봇 협의회를 만든다. 협의회는 민간이 참여하는 워킹그룹을 운영한다. 산업부에서는 욕창예방로봇 등 4종 개발로봇별로 구성하며, 복지부는 중증장애인·거동불편노인·안전성·데이터기술 등으로 만든다. 양 부처는 협의회와 포럼을 통해 제안된 내용을 정책에 반영한다. 특히 산업 활성화에 장애가 되지 않도록 인허가 및 안정성 평가기준 등을 손본다. 가장 중요한 시장 수요를 열기 위해 보급지원 사업에 나서고 금융지원도 펼친다.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우리나라는 2018년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2026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20%가 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이번 사업 추진 배경으로 고령화 등에 따라 돌봄로봇 도입이 시급한 점을 들었다. 이런 가운데 로봇기업은 시장의 판로를 개척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고 수요처인 가정에서는 로봇에 대한 이해 부족과 초기 투자비용 부담으로 로봇 도입에 애로가 있다는 설명이다.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 자료 산업통상자원부
최남호 산업부 제조산업정책국장은 "포럼이 로봇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간호·간병으로 어려움을 겪는 많은 분들에게 큰 희망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고, 임인택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정책국장은 "돌봄로봇 중개연구 및 서비스모델 개발사업이 활성화되어 국민의 돌봄 부담 감소에 큰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