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차세대 6세대(G) 통신인프라 상용화 시대를 발빠르게 준비한다.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위해 지금이 6G 연구개발(R&D) 시작의 적기라는 판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19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중장기 6G 연구개발사업 공청회'를 열었다.

용홍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 류은주 기자
용홍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 / 류은주 기자
6G는 글로벌 논의 초기단계인데, 한국은 미리 마련한 ‘중장기 6G 연구개발사업’의 기획안을 검토하고 업계 의견을 수렴하는 등 속도를 낸다.

용홍택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산업정책관은 "이제 막 5G를 시작하는데 벌써 6G를 준비하냐는 얘기도 있다"며 "하지만 2010년부터 5G를 준비해 2019년 상용화했던 일정을 고려할 때 지금이 바로 6G를 준비할 시점이다"고 말했다.

또 "6G 준비 초기에는 정부가 R&D 중심으로 견인하고, 어느 정도 기술을 축적했을 때 민간 상용화를 연계해 성공 가능성을 높일 것이다"며 "1등을 해 본 사람이 1등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세계 1등의 쾌거를 또 다시 이룰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이전 세대 이동통신을 통해 바라본 향후 6G 대응 전략'을 주제로 발표를 맡은 장석권 한양대 교수(경영대학)는 투자경제성 확보를 위해 1등을 해야한다고 강조했다. 투자경제성 분석은 투자 계획 순서 중 하나로, 비용수익, 생산성 등 투자의 타당성에 의거해 경제적 우열을 판단하고 선택하는 것이다.

장 교수는 "제일 먼저했을 때 경제성이 가장 높다"며 "남이 한 것을 쫓아가면 선도자가 돈을 다 가져가기 때문에 소용이 없다"고 말했다.

이어 "투자경제성은 1등만 가지므로 그렇게 1등을 하려는 것이다"며 "시장지체자로 잔락하면 울며 겨자먹기 식으로 가야하므로 지금은 시간 경쟁의 시기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6G를 5G 연장선으로 보지 말라고 제언했다. 그는 "6G를 이동통신 기술로 제한하면 안된다"며 "정부가 초기 R&D 비용을 대고 민간이 나중에 투자하는 기존의 고정관념을 깨고,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태완 과기정통부 정보통신방송기술정책과장은 토론자로 참석해 "10년쯤 뒤 새로운 통신 방식에 대한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며 "정부 예산은 예비 타당성 조사 프로세스를 거치므로, 지금 신청해도 2021년쯤 신규 예산 확보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이어 "공청회에서 논의한 6G R&D에 대한 생각을 예비 타당성 조사에 반영하겠다"며 "결코 빠르지 않고, 오히려 늦어 마음이 조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