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대(6G) 통신은 아직 개념이 명확하지 않다. 전문가들은 6G를 1테라(Tbps)급 전송속도와 100만분의 1초 이하의 지연시간, 100㎓ 대역 이상의 초고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이동통신이 될 것이라고 보통 정의한다. 반도체 기술 발전에 따라 300㎓ 주파수 대역도 이용할 수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하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은 16일 서울시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장에서 ‘중장기 6G 연구개발사업 공청회'를 열고 6G 인프라 핵심기술개발 전략과제 세부내용을 발표했다.

 IITP 주파수 확보 기술 개념도 설명 화면. / 류은주 기자
IITP 주파수 확보 기술 개념도 설명 화면. / 류은주 기자
IITP RF분과 담당자는 초고주파 무선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기술개발을 강조했다. 그는 "6G에서는 주파수 대역이 올라갈 수밖에 없다"며 "주파수 대역 숫자가 세자리대로 바뀌는 것은 상징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4~5년에 걸쳐 반도체 기술이 발전하면 300㎓ 주파수 대역도 상용화할 수 있다"며 "주파수가 높아지면 전송 효율이 낮아지므로 새로운 안테나 송수신기 구조 패키지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변우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전파·위성연구본부장은 전자파 측정평가 및 대책 기술 개발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변 본부장은 "2G 이후 채널 대역폭은 세대마다 4~5배씩 증가했으므로, 6G 시대에 더 큰 채널 대역폭이 필요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그는 "6G 시대는 복합적인 전파환경이 될 것이므로 전자파 측정·평가 및 대책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며 "5G 주파수 표준을 (한국이) 선도했듯, 6G에서도 미활용 주파수 정책을 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주파수 확보는 정부 고유의 업무이므로 정부가 주도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확보한 전파채널 모델은 산업체, 연구기관 등에 모두 공개할 것을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