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융합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자, 대학들도 보안 특화 대학원 설립에 나선다.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KAIST)은 국내 대학 중 최초로 스마트시티에 특화된 `융합보안대학원'을 설립하고 26일 오후 KAIST 대전 본원에서 개원식을 한다고 22일 밝혔다. 카이스트 융합보안대학원은 3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진행한 `지역전략산업 융합보안 핵심인재 양성 사업' 공모에 참여한 고려대, 전남대 등과 함께 최종 선정됐다.

.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 / 한국과학기술원 제공
카이스트는 2019년부터 연차 평가를 통해 최대 6년간 40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도시 스케일 혁신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 및 교육 역량을 확보하고 4차 산업혁명과 ICT 융합산업을 선도하는 융합보안 인재 양성의 기틀을 마련한다.

또 카이스트 융합보안대학원은 대학 캠퍼스 전체를 스마트시티 테스트베드로 구축하겠다는 전략이다. 발생 가능성이 있는 다양한 보안 위협에 대한 예방·대응 기술을 연구해 즉시 적용할 수 있는 실습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다.

테스트베드로 구축한 캠퍼스를 지역 거점 연구 시설로 활용해 네이버, 대전·세종시 등 16개 유수 기업과 기관이 참여하는 산업체 컨소시엄 `Security@KAIST'도 구성한다.

주기적인 세미나, 기술 설명회, 특강 등을 개최하고 스마트시티의 라이프 사이클에 요구되는 산업 현장의 보안 수요와 실무적 난제를 해결하는 협업형 프로젝트를 추진해 융합보안 산학협력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한다.

융합보안이 향후 스마트시티 성패를 가를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모든 것을 연결하는 스마트시티에서 보안은 필수 요소기 때문이다. 특히 사회의 모든 요소가 연결된 스마트시티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공격에 대처하지 못한다면 국가적인 재난이 된다.

20일(현지시각) 블룸버그는 조사 기관 ABI리서치의 보고서를 인용해 2024년에 세계 주요 도시 인프라 구축에서 사이버 보안이 차지할 비용이 1350억달러(163조1070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ABI리서치는 각 국의 주요 도시가 사이버 공격으로부터 시민들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준의 보안이 구축되지 않았다고 경고했다.

한국은 2020년 무선 인터넷망 보안 관련 예산을 100억원으로 편성하는 등 보안 위협에 대처를 위한 움직임을 보인다. 하지만 관련 예산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