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VR)이라고 하면, 많은 사람들은 게임과 같은 ‘즐길 거리’를 떠올린다. 사실 가상현실의 응용 범위는 무궁무진하다. 심리치료가 대표적인 예다. 실제로 체험하는 듯한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트라우마와 같은 마음의 깊은 상처까지 어루만지기도 한다. 이 덕분에 실감미디어라는 새로운 영역도 열렸다.

해외에서는 이같은 VR과 실감미디어의 교육적, 치료적 기능을 주목한다. 게임 외의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우리나라에도 이러한 사람이 있다. 최석영 감성놀이터 대표다.

최 대표가 대중에 널리 알려진 계기는 2017년 IT조선 주최로 열린 ‘Next VR 콘퍼런스’다. 강연자로 나선 그는 ‘가상현실 심리치료’를 소개해 참석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그는 편안한 느낌의 화면, 음악을 튼 가상현실 공간을 만들어 환자가 그 속에서 편히 쉬도록 하는 원리를 제시했다.

최 대표는 가상현실에 이어 ‘미디어파사드’를 주목한다. 주제, 장소, 방법을 다양하게 바꿔 표현하는 실감미디어의 일종이다. 그는 미디어파사드로 문화를 알리고, 대안학교를 만들고, 사람과 사람을 이을 수 있다고 믿는다.

영상·음악으로 마음 고치는 가상현실 심리치료…트라우마·자살예방 효과 인정받아

감성놀이터는 심리 상담 스타트업, 트라우마 전문 병원과 업무협약을 맺었다. 가상현실 심리치료의 적용 범위를 넓히자는 취지다. 그 첫걸음은 전남 광주였다. 5.18 민주화운동의 성지엔 아직도 당시의 악몽과 고통에 시달리는 이들이 많다.

최 대표는 "전남 담양 죽녹원의 풍경과 소리를 가상혈실로 재현해 5.18 트라우마 치유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보는 이의 뇌파 파형을 알파파로 바꿔 긴장을 풀어준다. 스트레스 해소 효과도 크다"고 밝혔다. 그는 광주를 꾸준히 방문해 가상현실 심리치료를 계속한다.


가상현실 심리치료중인 최석영 감성놀이터 대표. / 차주경 기자
가상현실 심리치료중인 최석영 감성놀이터 대표. / 차주경 기자
최 대표의 또다른 관심사는 ‘학생의 심리치료’였다.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 하는 이를 돕기 위한 생명문화버스, 전 ‘자살 예방버스’에 공급할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를 만들었다. 그는 "가상현실 심리치료를 받고 위안을 받아 눈물을 흘리는 학생도 있었다. 생명문화버스와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 운용 일정은 2020년까지 가득찼을 정도로 인기를 모았다"고 밝혔다.

서울의료원이 연구 중인 ‘감정노동자를 위한 심리치료’도 있다. 수많은 감정노동자들이 그의 콘텐츠로 위로를 받았다. 2018년 유니티 VR 게임워크샵에서 선보인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는 큰 인기를 모았다. 게임에 대한 나쁜 인식 및 평가를 상당 부분 바꿨다는 의견이 나왔다.

감성놀이터는 모든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를 자체 제작한다. 어려운 작업이다. "주제를 선정하고 그에 맞는 화면과 사진을 구성한다. 효과음과 음악도 대부분 직접 한다. 그렇게 만든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가 벌써 12개에 달한다"고 소회한다. 그가 만든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 주제는 제주 비자림, 전남 죽녹원 등 다양하다. 자연스레 한국 고유의 문화와 콘텐츠를 알리는 역할도 한다.

다른 기업이나 작가의 도움도 받는다. 안마의자 제조사 휴테크와 함께 만든 가상현실 심리치료 콘텐츠는 지난해 한국 가상현실 전시회 ‘KVRF2018’에서 장관상을 받았다.

이어 최 대표는 장형순 작가와 손을 잡는다. "거대 로봇을 활용해 예술 활동을 펼치는 프로젝트다. 마음이 있는 로봇 이야기라는 주제 아래, 가상현실 기술로 구현한 새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10월 2일 열릴 VR엑스포2019에 선보일 예정이다"고 말했다.

미디어파사드 앞세운 대안 교육, 세계적인 문화 축제 만들 계획도

최 대표는 우리 삶의 질을 높일 또 다른 기술, 프로젝션 맵핑 ‘미디어파사드’를 주목한다. 건물, 광장 등 공개된 공간에 주제를 담은 영상을 쏜다. 이때 공간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영상을 쏘는 각도와 효과를 가공한다.

단순히 영상을 투사하는 것이 아니라, 주제에 걸맞게 다양한 효과를 입히고 투사하는 곳의 특성까지 살린다. 미디어파사드를 보는 이는 마치 영화나 게임 속 환상적인 공간을 체험하게 된다. 현실 공간이 영화와 게임 공간이 된다. 자연스레 주제를 더 실감나게, 더 재미있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높은 건물을 타고 내려오는 인기 애니메이션 캐릭터 영상, 식탁에 투사하는 음식 영상, 역사적 의미를 가진 건물 주위에 그 시대의 배경과 주요 사건을 재현하는 영상. 모두 미디어파사드의 예다. 공간과 영상을 융합하는 융합현실의 일종으로도 볼 수 있다.

최 대표는 9월 오스트리아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에 참석했다. 한국 택견 증강현실 미디어아트의 기술총괄 멘토 자격이다. 40여년 이상 이어진, 유서깊은 전시 공연이자 도시축제인 이 행사를 본 그는 한국에서도 이같은 행사를 하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다.

최석영 대표와 감성놀이터가 기획하는 라이트아트 시티 페스티벌 포스터. / 감성놀이터 제공
최석영 대표와 감성놀이터가 기획하는 라이트아트 시티 페스티벌 포스터. / 감성놀이터 제공
최 대표의 구상을 구체화한 것이 바로 2020년 11월 미국 LA에서 열릴 ‘라이트아트 시티 페스티벌’이다. 각종 미디어아트 전시와 포럼을 시작으로 기술자와 예술가, 사용자와 기업 등 다양한 이들이 만나 함께 자랑하고 즐기는 도시 축제다.

"첫 행사를 잘 꾸려 국제 문화 콘텐츠 행사로 키우는 것이 목표다. 라이트아트 시티 페스티벌은 한국 전통 문화, 인기 캐릭터와 캘리그라피 등 문화 알리기에도 쓸 수 있다"고 그는 강조한다.

처음부터 한국에서 행사를 열지 않은 것에 대해 그는 "한국에서 먼저 시작할 수도 있지만, 미국에서 시작해 세계에 알리면 홍보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한국에서도 라이트아트 시티 페스티벌의 일부를 볼 수 있다. 주말마다 서울 연남동 ‘비쥬얼스토리’에 방문하면 최 대표의 미디어파사드를 체험할 수 있다. 아카데미도 열린다. 교육 행사를 열어 참신한 아이디어와 인재를 얻으려는 최 대표의 계산이다.

그의 생각은 미디어아트 대안 학교까지 닿았다. 정규 교육이 아닌 실험적인 학교, 어떤 실수도 용납하고, 오히려 실수에서 배우는 것을 장려한다는 의미에서 이름을 ‘미스테이크 스쿨’로 지었다.

"미디어파사드를 비롯한 실감 미디어, 융합현실 등 첨단 기술을 미스테이크 스쿨에서 배울 수 있다. 대안학교답게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으로 배울 수 있다. 한국과 세계 곳곳에 미스테이크 스쿨을 만드는 것이 목표다"고 그는 설명한다.

짧은 기간에 이렇게 많은 시도를 하고, 또 성과까지 거둔 비결은 뭘까. 최 대표는 공을 다른 사람과 기관으로 돌렸다. 그는 "무모한 시도를 여러 차례 거듭했지만, 그 때마다 자신을 돕는 예술가와 기관 등 사람이 많은 덕분에 성공을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무모함 속에서 가치를 만드는 활동, 첨단 기술로 사람과 사회를 돕는 활동을 이어가는 것이 그 고마움을 갚는 방법"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