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모바일 결제 이용률 71.4%, 결제액도 전년 比 58.4% 증가
사용 편하고 수수료 낮아 중국 모바일 결제 이용률 높여
무협, 정부 규제 완화하고 환경 조성 역할에 집중해야

. / freepik.com 제공
. / freepik.com 제공
중국 모바일결제 이용률이 한국의 세 배에 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 스마트폰 보급률(69%)이 한국(94.1%)에 비해 뒤쳐진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대비되는 결과다. 이는 중국 정부가 규제에 유연한 자세를 취한 결과라는 평가다. 중국은 서비스를 먼저 시행한 뒤 발생한 문제점에 규제를 확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23일 한국무역협회는 ‘제3자 모바일 결제시장 한중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를 발간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중 모바일 결제 이용자 비율은 71.4%에 달한다.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한국 모바일 이용자가 최근 6개월 내 모바일 결제 서비스를 이용한 비율은 26.1%에 불과했다.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은 급격한 성장세를 보인다. 2018년 한 해에만 중국 내 모바일 결제액은 190조5000억위안(3만1992조5700억원) 규모다. 이는 전년대비 58.4% 증가한 수치다.

중국 모바일 결제 성장에는 대표주자인 위챗페이와 알리페이 역할이 컸다는 평가다. 이들은 편리성과 범용성, 낮은 수수료가 특징이다. 특히 특정 단말기를 갖고 있지 않고도 결제가 가능한 QR코드 결제 방식을 취한다. 모바일 결제 수수료도 2019년 현재 0.6%다. 2018년 이전까지는 무료에 가까웠다.

또 위챗페이와 알리페이가 등장 초기부터 온라인 쇼핑 등 모바일 플랫폼과 결합했다는 점도 중국 모바일 결제 성장 비결로 꼽힌다. 두 서비스는 이후 차량공유와 음식배달 등 다양한 생활 밀착형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와 연동하며 모바일 결제 시장 주도권을 장악했다.

한국에 비해 신용카드 이용률이 낮은 점도 중국 모바일 결제 시장 확대에 힘이 됐다. 2017년 기준 한국 이용자 1인당 신용카드와 직불카드 보유 수는 2.1장이다. 반면 중국은 0.7장이다.

중국 정부 역할도 컸다. 중국은 민간 사업자를 위해 시장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에 머무른다. 또 일단 서비스를 운영한 뒤 문제가 발생할 경우에만 사후 규제를 도입하는 방식을 취한다.

중국 정부가 최근 모바일 결제 서비스 결제 한도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면 인증 절차를 강화하도록 규제를 만든 이유다. 또한 바코드 기반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기업이 온라인 결제 인가와 은행카드 인수사업 인가를 받도록 하는 등 규제도 강화하고 있다.

韓, 사전규제에 정부가 직접 사업하러 나서

반면 한국은 여러 제약사항이 존재해 문제로 지적된다. 우선 한국은 중국과 달리 이용자를 기존 결제 방식 대신 모바일 결제로 유인할 요인이 마땅하지 않다. 신용카드 이용률도 높고 리더기 보급이 잘 돼있는데다, 신용카드 수수료가 높지 않아서다.

또 한국 모바일 결제서비스는 중국에 비해 범용성도 낮다. 서비스 별로 사용 방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한국 모바일 결제 서비스인 삼성페이는 아이폰에서 이용할 수 없다. 페이코는 가맹점에서만 어플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

무협은 보고서에서 한국 모바일 결제 시장 발전을 위해 정부가 환경 조성자로서 역할만 충실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무협은 "한국 정부는 제로페이를 출시하며 직접 서비스 공급 주체로 개입하고 있다"며 "하지만 정책 환경 조성에 있어서는 다소 소극적이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한국에서 신용카드 사용률이 증가하는데에 정부 세액공제 혜택과 규제 철폐가 기여한 것처럼 모바일 결제에도 세제 혜택을 부여하고 규제를 완화하면 이용률 제고가 가능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