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벤처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민간 투자금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스케일업(Scale up, 벤처 스타트업이 한 단계 성장하는 것을 이르는 말)을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 유치가 필수적인데, 정책자금으론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에 정책 자금 비중이 높은 국내 벤처 생태계에 민간 투자를 유인할 각종 지원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진다.

신규조합 출자자 구성비./ 김선동 의원실 제공
신규조합 출자자 구성비./ 김선동 의원실 제공
5일 오후 국회에서는 김선동·추경호 자유한국당 의원이 주최한 민간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서 송교직 성균관대 교수는 "국내 벤처시장에 정책자금 지원을 이어가는 한편, 민간투자가 늘어날 수 있도록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벤처캐피탈협회 자료에 따르면 2018년 말 기준 국내벤처투자조합은 807개다. 총 결성금액은 24조78억원이다. 신규조합 결성액도 같은 2018년도 말 기준 4조 6868억원으로 2014년 이후 2배 가량 늘었다.

문제는 벤처투자 생태계가 기관 투자금에 의존한다는 점이다. 외국인과 개인출자자 투자금 비중은 전체 기준 ▲2016년 3.1% ▲2017년 2.9% ▲2018년 2.9% 등으로 매년 감소한다.

2018년 기준 신규조합 출자자 구성비를 살펴봐도 마찬가지다. 전체 출자자 중 정책기관은 25.7%, 금융기관이 30.3%로 대다수를 차지한다. 반면 벤처캐피탈은 10.4%, 일반법인은 9.5%에 그쳤다. 반면 미국은 기업과 개인자산가 등 민간자금이 80% 이상을 차지한다.

송 교수는 "정책 자금 중심 생태계에서는 벤처기업이 성장할 때 꼭 필요한 대규모 자본을 유치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다"며 "벤처투자시장이 성장하려면 민간자금이 중심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민간중심 벤처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송 교수는 개인 벤처투자 소득공제 혜택 개선을 꼽았다. 현재는 벤처에 직접투자할 때만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를 간접 투자로도 혜택 범위를 늘리자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그는 또 내국 법인이 벤처펀드에 출자할 때 세제 혜택을 늘리는 방안도 제언했다. 현재 김선동 의원과 추경호 의원이 이러한 내용을 담은 법안을 발의한 상태다.

송 교수는 "벤처투자가 일반 투자 상품보다는 위험성이 높다는 점을 고려해 직접투자보다는 간접투자 지원책을 강화하는 것이 맞다"고 강조했다.

회수시장 활성화도 민간 투자를 늘리는 또 다른 방법이다. 투자한 금액을 더 빠르고 쉽게 회수할 수 있다면 그만큼 개인투자자들의 투자가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2016년 기준 국내 벤처캐피탈의 출구전략(exit)은 주식매각·상환(37%)과 기업공개(27%)가 다수를 차지했다. 반면 유럽은 인수합병(27%)되거나 사모펀드에 매각(20%)되는 경우, 금융기관에 매각(15%)는 사례 등 회수경로가 다양했다.

다만 회수시장은 매년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2018년 현재 회수총액은 2조678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9.1%가 늘어났다. 투자원금 대비 2.1배(110%) 수익을 달성한 수치다. 송 교수는 다만 "아직 회수시장이 활성화됐다고 보기는 힘들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책지원 방법으로는 ▲코넥스 시장 활성화 ▲장외시장 활성화 ▲BDC 제도도입 등이 거론됐다. BDC란 비상장기업을 전문으로 투자하는 금융회사다. BDC는 투자 대상을 정하지 않고 일단 증권 시장에 상장한 뒤, 이 과정에서 조달한 자금을 비상장 기업과 코넥스 상장기업 등에 투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