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혁신전도사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 인터뷰
엉뚱하지만 창의적 생각 쏟아낼 공간 창출
스타트업에 필요한 건 혁신적 조직 문화
방향 제시와 구성원 이끄는 건 리더의 몫
구글도 최근 혁신 리더 양성에 관심
창업자 퇴진에도 큰 변화 없을 것
한국 조직 전체 혁신할 리더 양성 더 투자를

구글이 세계 최고 IT기업이다. 그 배경에는 엉뚱하고 창의적 혁신을 추구하는 문화가 있다. 여기에 말도 안되는 극단적 아이디어도 마음껏 실험할 수 있는 문화도 갖춰졌다. 구글을 한 단어로 정의할 수 없는 기업이 된 이유다. 검색 엔진 서비스로 시작한 구글은 소셜미디어, 금융, 클라우드, 자율주행, 양자컴퓨팅까지 최첨단 기술을 모두 아우른다.

이런 구글에는 혁신을 상징하는 공간이 있다. 더 거라지(The Garage)다. 각종 전기용품과 컴퓨터, 3D프린터 등이 놓여있다. 누구나 이 공간에서 무엇이든 만들어 볼 수 있다. 구글글래스를 포함한 각종 구글 프로덕트가 여기서 탄생했다.

더 거라지는 1998년 구글 시작과 맞닿은 상징적 공간이다. 스탠퍼드 대학원 박사과정 대학생이었던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는 회사 근처 차고에서 구글을 만들어 세계적 기업으로 키워냈다.

구글은 현재 혁신의 새로운 문턱에 섰다. 구글을 만든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면서다. 그들은 물러나면서 "조언과 사랑을 주면서도 매일 잔소리만 하지 않는 자랑스런 부모로 남겠다"고 밝혔다. 부모 품을 떠난 21살 구글은 글로벌 1위 IT기업으로서 책임감을 갖는 한편 그간 보여온 창의적 혁신을 계속 이어가야 한다는 두 가지 과제를 안게 됐다.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는 구글에서 최고 혁신전도사(Chief Innovation Evangelist)로 활동한다. 그는 더 거라지 설립자이자 구글 첫 번째 혁신연구소 CSI:Lab(Creative Skills for Innovation, 혁신을 위한 창의적 스킬) 창립자다. 혁신전도사라는 이름에 걸맞게 그는 구글 유튜브, 하드웨어, 세일즈, 클라우드, 인사팀 등 구글 모회사 알파벳과 구글 내 600여개 팀이 더 거라지에서 수 백가지 이상 새로운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실험하도록 돕는다.

IT조선은 9일 오후 서울 강남에 위치한 구글스타트업캠퍼스에서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와 인터뷰를 진행했다. 그는 "구글에 변화하지 않는건 ‘변화' 그 자체다"라며 "구글은 앞으로도 변화를 계속 포용하면서 새로운 혁신을 시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가 9일 오후 서울 강남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모습./ IT조선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가 9일 오후 서울 강남 구글 스타트업 캠퍼스에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모습./ IT조선
―한국을 방문한 이유는.

"한국 스타트업 대표를 만나 혁신 추구 방법을 소개하려고 한다. 구글은 스타트업으로 출발했고, 스타트업에 많은 지원을 한다. 초기 스타트업을 만나 혁신적인 조직 문화를 만드는 다양한 방법을 전수하고 있다.

이번 방한에서는 좀 더 구체적인 혁신 구현 방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혁신은 무형의 존재다. 이걸 구체적인 형식(ritual)으로 만들어 기업 문화에 혁신을 이끌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할 예정이다."

―리추얼이 정확히 무엇인지 설명해달라.

"조직 구성원이 업무에 임할 때 반복적으로 하는 절차나 행위, 문화라고 보면 된다. 조직원이 함께 하면서, 조직 구성원이 공통 문화와 가치를 지향하고 있다고 의식하게 하는 것이다. 사내 행사나 문화를 지칭하는 것일 수도 있지만, 특정한 사물이 될 수도 있다.

구글 사례를 들겠다. 구글에서 신입 사원은 누글러(New+Googler)라고 부른다. 누글러에게는 온보딩(On Boarding)이라는 적응기간을 주는데, 이 기간 동안 누글러들이 쓰는 모자가 있다. 모자에는 프로펠러가 달려있다. 프로펠러는 구글러끼리 일하면서 장난도 칠 수 있는 톡톡 튀는 사내 분위기를 상징한다. 또한 온보딩 기간 중 누글러들이 호기심을 갖고 궁금한걸 마음껏 질문할 수 있도록 장려한다는 의미도 있다.

구글에는 퍼스트펭귄어워드(First Panguin Award)라는 행사가 있다. 퍼스트펭귄은 선구자나 도전자 의미다. 펭귄떼는 먹잇감을 구하기 위해 바닷 속으로 뛰어들어야 한다. 다만 바닷속에 펭귄을 잡아먹으려는 물개가 있을 수 있다. 퍼스트펭귄은 둘 중 하나다. 혁신가가 되거나 가장 먼저 잡아먹히느냐다. 이 위험을 안고 퍼스트펭귄은 가장 먼저 바다에 뛰어들어 다른 펭귄도 바다에 뛰어들 수 있도록 이끈다.

퍼스트펭귄어워드는 남들이 안했던 새로운 걸 시도하는 사람을 조직 차원에서 인정하고 혁신을 독려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더 거라지도 구글에 일종의 리추얼인 것 같다. 구글에 더 거라지가 갖는 의미를 설명해달라.

"더 거라지는 7년 전 만들어졌다. 구글 직원과 구글 파트너가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도록 돕자는 취지였다. 사내에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를 신속하게 실험해보고, 이를 발전시키는데 허들이 없어야 한다는 생각에서다. 구글도 처음엔 작은 창고에서 시작했다는 상징도 있다.

더 거라지는 단순하게 구글 본사에 있는 물리적 공간이 아니다. 계속 기회를 모색하고 아이디어를 실험할 수 있는 문화와 환경을 상징한다. 그런 혁신이 이뤄지는 공간이라면 세계 어느 곳이나 더 거라지가 될 수 있다.

구글은 이제 작은 스타트업이 아니다. 전체 직원 수는 11만명이 넘는다. 하지만 구글 같은 큰 조직에게도 여전히 스스로를 다시 혁신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구글도 다음 성장 단계를 바라보며 계속 혁신에 투자해야 한다."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가 구글 본사 내 더 거라지에 앉아있는 모습. 더 거라지에는 다양한 실험을 해볼 수 있는 각종 제작 툴이 있다./ 구글코리아 제공
프레데릭 페르트 박사가 구글 본사 내 더 거라지에 앉아있는 모습. 더 거라지에는 다양한 실험을 해볼 수 있는 각종 제작 툴이 있다./ 구글코리아 제공
―구글 내에는 다양한 실험 조직이 있다. 아프리카 오지 상공에 풍선을 띄워 인터넷을 제공하겠다는 룬 프로젝트가 대표 사례다. 구글과 달리 일반 기업은 혁신을 꾀하는 과정에 조직 내에서 많은 반대에 부딪히고 좌절한다. 룬 프로젝트를 사례로 작은 아이디어가 큰 조직 수준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비법을 소개해달라.

"룬 프로젝트 팀에 자주 방문해 이야기를 나눈다. 그만큼 친한 사이다. 그들을 만날 때마다 매번 놀란다. 그들은 한 가지 미션에 미쳐있는 사람들이다. 오지든 도시든 거주지에 제한없이 누구나 인터넷에서 새로운 정보를 접할 수 있도록 돕고 싶다는 미션이다.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과정에 조직 내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는 그 팀 소속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밝힐 수는 없다. 다만 분명한건 기술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평등한 기회를 주고 싶다는 당위성 하나로 지금까지 왔다는 점이다. 아이디어가 꼭 실현되길 바라고, 미션 당위성과 가치를 믿는다면 반대를 무릅쓰고 꿋꿋이 밀고 나가는 용기도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

―21년 전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가 만든 구글과 2019년 세계 1위 IT기업이 된 구글에게 ‘혁신'은 여전히 같은 의미인가.

"조금은 달라졌다. 구글은 안드로이드와 크롬 등 크게 9개 프로덕트를 운영하고 있다. 각 프로덕트 별로 이용자 수만 10억명이 넘는다. 구글 차원에서 내리는 의사결정 하나가 수십억명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구글에서 일한다는 것 자체로 이용자에게 큰 책임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구글은 이제 21살이 됐다. 청소년 때와 달리 성인에 걸맞는 혁신을 추구해야 한다. 구글은 전 세계 수많은 개인과 기업, 공공기관이 성공할 수 있도록 돕는 방향으로 혁신해야 한다. 수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주고 그들에게 어떤 게 필요한지를 찾아야 한다."

―혁신과 창의에 집중한게 기존 구글의 혁신이었다면, 현재는 혁신에 신중함과 책임감이 추가된건가.

"맞다. 다만 달라지지 않은 것도 있다. 혁신 본연의 정신은 변하지 않는다. 이 부분은 구글 조직을 떠나 모든 조직이 추구해야 할 혁신에 대한 이야기다. 기술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그만큼 미래는 예측이 어렵다. 그래서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호하고 불확실한 미래를 잘 헤쳐가야 한다. 여기엔 새로운 것에 도전한다는 혁신 본연의 태도를 잃지 않는게 중요하다."

―구글 혁신 배경엔 창고에서 구글을 만든 창업자 세르게이 브린과 래리 페이지 두 사람의 역할도 컸다고 생각한다. 그들이 최근 경영 일선에서 물러나게 됐는데 구글 조직 문화에 미치는 영향은 없을까.

"나는 낙천주의자다. 두 사람이 퇴진한 이후에도 여전히 구글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화할 것으로 기대한다. 아마 그 두 사람 퇴진 이후에 구글에는 이전에 없던 새로운 기회들이 생길거라고 보기 때문이다.

두 사람은 21살 구글은 청소년기 구글과 다른 새로운 역할을 해야 한다고 봤다. 다만 구글에 변화하지 않는 것도 있다. 변화 그 자체다. 변화를 계속 포용하면서도 새로운 기회를 찾아가는 게 미래 지향적인 구글같은 기업에게 필수다. 두 창업자가 구글은 전통 기업이 아니고, 앞으로도 계속 진보해야 한다고 한 이유다.

21년 간 구글에 헌신한 두 창업자에게 모든 직원이 감사하고 있다. 구글이 앞으로 어떤 방식으로 새로운 혁신과 변화를 만들어갈지 지켜봐주시면 좋겠다."

―한국 조직은 리더가 시키는 대로 해야 하는 상명하복식 문화가 강하다. 이런 환경에서도 구글같은 혁신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해준다면.

"혁신에는 리더 역할이 가장 중요하다. 혁신은 누구나 할 수 있지만 조직이 추구할 혁신 방향을 세우고 조직을 설득해 구성원을 혁신으로 이끄는건 리더 몫이기 때문이다.

구글이 최근 리더 양성에 관심을 갖는 이유기도 하다. (페르트 박사는 구글 스쿨 포 리더스를 설립자이기도 하다. 세계 스타트업, 학교, 비영리단체, 포춘지 선정 500대 기업 등에서 사용하는 혁신적 기업문화와 창의적 리더십 및 미래기술에 대한 접근법도 개발했다.)

우리가 볼 때 좋은 리더는 인간적이면서도, 사안을 넓게 볼 줄 알고, 팀원들이 다양한 혁신을 시도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량을 가진 사람이다. 미래 비전을 명확히 세우면서도 이를 조직에게 잘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역량도 갖춰야 한다. 한국은 조직 전체를 혁신할 수 있는 리더를 양성하는데 좀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