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인공지능(AI) 인재 경쟁력이 미국 절반 수준에 불과하며 중국과 일본 등과 비교하면 가장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국내 AI 인력 부족률은 60.6% 달한다는 지적이다. 규제 완화와 AI 생태계 조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15일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국내 산업계, 학계, 연구원 등에서 AI 관련 연구를 하는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지난달 진행한 전화·이메일 설문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AI 산업을 선도하는 미국 AI 인재 경쟁력을 10으로 볼 때 한·중·일 3국 AI 인재 경쟁력 수준은 중국(8.1), 일본(6.0), 한국(5.2)로 나타났다.

 미·중·일·한 AI 인재 경쟁력 비교.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미·중·일·한 AI 인재 경쟁력 비교.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한경연은 "정부가 대규모 투자를 추진하는 중국과도 상당한 격차가 있다"며 "국내에도 관련 인력이 배출되지만, 미국, 유럽, 중국행을 택하는 실정이다"라고 지적했다.

AI인력 부족률은 평균 60.6%로 나타났다. 이번 설문에서 AI 인력 부족 수준을 묻자 가장 많은 20.7%가 '50∼59%'라고 답했다. '70∼79%', '30·39%'라는 답은 각각 17.3%였다. AI 인력 부족률이 평균 60.6%인 셈이다.

설문에 응대한 이들은 AI 전문 인력 양성 및 확보 방안으로 '국내외 AI 석박사 채용'(89.3%·복수응답)을 가장 많이 꼽았다. 또 '재직자 AI 교육'(75.0%), '대학 연계 프로그램 개발'(46.4%)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외 AI 기업을 인수하거나 해외연구소 설립·인수라는 답도 각각 17.9%로 나타났다.

 AI 인력 부족률(왼쪽)과 AI 전문 인력 확보 방안.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AI 인력 부족률(왼쪽)과 AI 전문 인력 확보 방안. / 한국경제연구원 제공
AI 인력을 확보하는 데 가장 큰 애로 요인으로는 '실무형 기술인력 부족'(36.7%·2순위까지 복수응답)과 '선진국 수준의 연봉 지급이 어렵다'(25.5%)로 꼽혔다. '대학원 등 전문 교육기관 및 교수 부족'(22.2%), '근로시간 등 경직된 근무환경 및 조직문화'(6.7%), '예산지원, 규제 완화 등 정부 지원 부족'(6.7%) 등도 이유로 나왔다.

국내 AI 인재 육성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교육 인프라 확대'(37.8%·2위까지 복수응답), '기술혁신 및 신산업 창출을 저해하는 규제 완화'(21.1%), 'AI 관련 스타트업 창업 및 기업의 AI 인재 육성 제도적 지원'(13.3%), 'AI 인재 유치를 위한 근로환경 및 기업문화 조성'(12.2%) 등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