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획은 원대한데 실행은 모르겠습니다. 게임 산업을 살리겠다는 정부 정책은 많았으나, 결과가 나온 것이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은 18일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한 게임산업 재도약을 위한 대토론회에 참여해 이같이 말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의 게임산업 발전 방안을 듣고 쓴소리를 건넸 것이다.

김혁수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사업본부장은 토론회에서 "중소게임사는 혹독한 겨울을 보내고 있다"며 "힘든 시기를 보내는 중소게임사를 도와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콘진원의 중소 게임업체 경쟁력 제고 방안을 소개했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가운데)의 모습. / 오시영 기자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가운데)의 모습. / 오시영 기자
지원 방안에는 ▲초기 사무공간부터 테스트베드, 컨설팅 지원 인사, 금융, 법률에 이르는 성장 단계별 맞춤형 창업·엑셀러레이팅 지원 ▲5G 통신망, 클라우드 확대, 인공지능, 블록체인 등을 게임에 결합하는 미래 게임시장 개척 ▲온라인게임 글로벌서비스플랫폼(GSP)·모바일게임 글로벌 퍼블리싱 지원사업 통합·개편 ▲신기술 변화에 부합하는 게임 전문인재 양성 등이 포함됐다.

위정현 학회장은 특히 해외 진출 지원 프로그램을 꼬집었다. 그는 "해외에 진출한 기업 관계자와 이야기를 해보면 콘진원이 운영하는 해외센터는 전혀 작동하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다"며 "실제로 콘진원이 어떤 역할을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중소 게임사가 힘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한 후 정책 우선순위를 정해야한다고도 충고했다. 위정현 학회장은 "중소개발사는 지금 응급실에 실려온 상태"라며 "환자가 뇌졸중인지, 동맥경화인지를 알아야 하는데 정부는 이런 움직임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새 기술을 중심으로 지원해 중소개발사가 파괴적인 혁신을 일으킬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위 학회장은 "‘지원금 뿌리기’보다는 게임 개발력에 격변을 일으킬 수 있는 새 기술, 도구를 중소개발사에 지원해 대기업을 뒤흔들 수 있는 역량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오늘 토론회의 제목에 쓰인 ‘재도약’이라는 단어부터 안타깝다"며 "예전에는 게임 산업에 있어서는 우리가 1등이었는데, 어느 새 쫒아가는 입장이 됐다"고 말했다. 또한 "중소개발사 지원은 그들의 사활이 걸린 사안인 만큼 좋은 상황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혁수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사업본부장의 모습. / 오시영 기자
김혁수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사업본부장의 모습. / 오시영 기자
김혁수 본부장은 위정현 학회장의 조언에 대해 좋은 지적이라는 입장을 보였다.

그는 "다행히도 2019년 9월 문화산업진흥법 개정을 통해 한국콘텐츠진흥원이 해외지사를 둘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며 "그동안 지원 사업을 진행할 때 인력 확보나 예산 확보에 관한 애로사항이 있었는데 앞으로 이를 해결하고 해외 거점 지속적으로 늘려나가 중소 개발사에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게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