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감염이 본격화되고 있다. ‘유입 차단 전략’에서 이제는 ‘피해 최소화 전략’으로 가야할 시기다. 조기 진단 및 예방에서 끝날 시점이 아니다. 선별진료소와 공공의료기관 기능을 강화하고 의료현장에서 환자가 신속히 분류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하다."

김동현 한림대학교 의대 교수는 21일 국립중앙의료원과 한국헬스커뮤니케이션학회가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개최한 ‘한국사회의 위기소통 특별 토론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 자리에서 '공중보건위기로서의 코로나19와 지역사회차원의 대응전략'이라는 주제로 발표했다. 이 자리는 코로나19의 올바른 위기소통 방향과 대안을 모색하기 위한 마련됐다.

김동현 한림대학교 의대 교수가 ‘한국사회의 위기소통 특별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IT조선
김동현 한림대학교 의대 교수가 ‘한국사회의 위기소통 특별 토론회’에서 발표하고 있다./IT조선
"코로나 19, 메르스·사스 대비 전파력 강하고 중증도는 높지 않아"

김 교수에 따르면 코로나19 치명률은 2.7% 정도다. 치명률이 34.4%인 메르스와 10%인 사스와 비교하면 낮다. 그는 "코로나19는 현재진행형인 만큼, 치명률에 변동 가능성은 있다"며 "심장질환과 당뇨, 호흡기 질환, 암, 고혈압 등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고령자의 경우 치명률이 높다"고 말했다.

그는 또 코로나19가 메르스와 사스 대비 중증도는 높지 않지만 전파력은 높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코로나19는 점점 전국적인 유행병(pandemic)이 되고 있다"며 "감염력이 굉장히 높아 일부 국가는 자국 내 2차 지역사회 감염이 본격화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메르스, 사스와 비슷한 것이 하나 있다면 바이러스 확산을 초래한 공중보건 인프라와 보건의료에 대한 사회적 투자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이다"라며 "코로나19가 확산되면서 지역 내 건강문제가 통상 보건의료체계와 자원으로 관리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고 있다"고 말했다.

지역·공공 보건의료체계 구축 시급

김 교수는 공공성에 기반한 보건의료체계가 하루 빨리 구축돼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광역시도와 시군구 단위 지역현장에서 지휘체계 구축방안이 가시적이 못하다"며 "공공의료 활성화에 대한 방안도 없고, 중앙과 지방 기관 간 협력 구조 또한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신속한 위기대응을 위해 중앙과 지방 기관간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와 지역보건·공공의료 인프라가 구축돼야 한다"며 현 위기 상황에 대비한 핵심 준비 요소로 ▲컨트롤타워 구축 ▲지역보건의료 거버넌스 구축(지역보건소 기능개편과 역할 강화) ▲공공의료기관 기반 확대 ▲공중보건 전문 인력 양성을 꼽았다.

그는 공공의료기관 기능과 역할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앙정부 주도 아래 위기 상황에 대비해 공공의료기관의 공공적 기능을 유지·확대해야 한다"며 "지역간 격차와 지역이기주의를 해소할 수 있는 조직 구조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대구에서 응급실을 폐쇄하는 상황을 예로 들었다. 그는 "응급실이 폐쇄되면 정작 급한 응급환자는 다른 지역 응급센터를 찾아갈 수 밖에 없다"며 "바이러스가 타 지역으로 전파되는 등 방역망이 뚫리는 사례가 속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되는 것이다"라고 설명했다. 확진자가 다녀갈 때 마다 응급실이 폐쇄되면 전국 의료 시스템이 마비되면서 정상적 사회활동이 극도로 위축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