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연구진이 불안정성이 높은 ‘큰 밴드갭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의 안정성 확보에 성공했다. 이를 실리콘 태양전지에 적층해 고효율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탠덤 태양전지는 광변환 효율이 30% 이하인 단일 태양전지의 한계를 넘기 위해 2개 이상의 태양전지를 적층한 전지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로 30% 이상 초고효율 태양전지 개발의 길을 열었다.

신병하 교수, 김대한 박사과정, 세종대 김동회 교수, 서울대 박익재 박사, 서울대 김진영 교수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방향) / KAIST 제공
신병하 교수, 김대한 박사과정, 세종대 김동회 교수, 서울대 박익재 박사, 서울대 김진영 교수 (앞줄 왼쪽부터 반시계방향) / KAIST 제공
KAIST는 30일 신병하 신소재공학과 교수와 김진영 서울대 교수, 김동회 세종대 교수, 카이 쥬 미국 국립재생에너지 연구소 박사, 정희준 노스웨스턴대 박사로 구성된 공동연구팀의 태양전지 기술개발 성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26.7%의 높은 광변환 효율을 지닌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새로운 음이온을 포함한 첨가제를 도입해 페로브스카이트 박막 내부에 형성되는 2차원 안정화 층의 전기적·구조적 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혔다. 이를 통해 최고 수준의 큰 밴드 갭 태양전지 소자를 제작했다.

이번 성과는 반도체 소재의 2차원 안정화 기법에 대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란 평가를 받는다. 유무기 하이브리드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 발광 다이오드, 광 검출기와 같은 광전자 소자 분야에도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신병하 KAIST 교수는 "실리콘 태양전지와의 이종 접합 구조를 통한 고효율 달성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며 "연구결과는 향후 30% 이상 초고율 탠덤 태양전지 구현의 초석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