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완화로 공공부문 대거 민간 서비스 활용 나설 것

정부가 공공부문에서도 클라우드 활용 확대에 나선다. 2019년 12월 개정된 행정·공공기관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시스템과 정보의 범위를 대폭 늘렸다.

윤정희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공공클라우드팀 수석 / 송주상 기자
윤정희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공공클라우드팀 수석 / 송주상 기자
윤정희 한국정보화진흥원(NIA) 공공클라우드팀 수석은 9일 IT조선이 개최한 웨비나(인터넷 웹 상에서 진행하는 세미나) ‘클라우드 2020’에서 정부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확대 계획을 공개했다.

윤정희 NIA 수석은 "중앙부처와 지자체는 내부 업무시스템 외 정보시스템, 공공기관은 전체 시스템에서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허용했다"며 "민간 클라우드 이용 검토를 위한 정보자원 등급제도 폐지해, 이용 가능 대상이 크게 늘었다"고 말했다.

NIA는 2016년부터 공공기관의 민간 클라우드 이용을 권장하며 컨설팅을 제공해왔다. 2019년부터는 컨설팅 방향을 조정했다. 이전에는 467개 공공기관 중심이었다면, 2019년부터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했다. 민간 클라우드 이용 관심을 보이는 기관들도 늘었다.

윤 수석은 "올해 컨설팅 수요 조사를 받았을 때 60여개의 기관이 제출했을 정도로 민간 클라우드 도입 관심이 높았다"며 "올해 수요를 제출한 기관들 중에서는 정부기관과 지자체가 포함됐다는 것이 특징이다"고 말했다.

2019년 10월 발표한 디지털 정부 혁신 추진계획에는 ▲개방형 전자정부 클라우드 플랫폼 구축(정보자원관리원 대구센터 우선적용, 대전 광주센터 확대 예정),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센터 설치 ▲디지털 서비스 전문계약제도 마련 및 전문 유통 플랫폼 운영 등의 계획도 담겼다.

2020년 공공부문 클라우드 사업은 어떻게?

2020년 공공부문 클라우드 사업 규모는 8284억원이다. 2019년보다 9.5% 늘었다. G-클라우드(정부 클라우드저장소 서비스에 3554억원(42.9%), 민간 클라우드에 1888억원(22.8%) 배정된다.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활성화를 위한 세부 전략으로 멀티 클라우드 지원 및 PPP 클라우드(민관 협력형 클라우드) 모델 지원 등이 손꼽힌다.

윤 수석은 "NIA의 전면 클라우드 전환 사례를 참조해 공공 멀티 클라우드 적용 모델을 마련하고, 자체 클라우드가 있어도 민관 협력형 클라우드 방식을 권장하려 한다"며 "보안 인증 획득 여부는 클라우드 스토어 ‘씨앗'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고 말했다. 씨앗은 클라우드서비스를 위한 전문마켓 및 정보유통 플랫폼이다.

이어 "또 IaaS(인프라), SaaS(소프트웨어), PaaS(플랫폼)의 경계가 모호해 진다는 현장의 목소리에 공감한다"며 "정부 부처들도 경계가 모호해지는 여러 서비스를 포괄하기 위해 계약 제도를 고민 중이며,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찾아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NIA는 보안인증을 받은 클라우드 서비스 목록을 제공하고, 공공부문 클라우드 종량제 과금 방식의 적용을 지원해 민간 클라우드 활성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