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업계가 뒤숭숭하다. 코로나19 여파로 TV프로그램 제작이 중단되는 등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외풍이 거세다. 지상파는 광고수익 급감으로 경영난에 휩싸이자 분리편성 광고(PCM)로 수익을 메운다는 국회의 질타를 받는다. 일부 종합편성채널(이하 종편)은 재승인 취소 위기를 맞는 등 안팎으로 잡음이 많다.

아이클릭아트
아이클릭아트
11일 방송업계 등에 따르면 채널A 등 일부 종편은 제재 누적에 따른 시정명령 조치 등 위기감이 크다. 재승인 심사를 앞두고 있는 MBN은 방송통신위원회의 행정처분을 기다리고 있는 상황이다.

앞서 4월 방통위는 채널A 등 종편의 재승인을 결정하며 연간 법정제재 건이 5건 이하여야 한다는 조건을 내걸었다. 현재 3건의 제재를 받은 채널A는 5건 이상의 제재를 받을 경우 승인이 취소되지는 않겠지만, 위반시 시정명령과 함께 잘못하면 과징금 처분도 받을 수 있다.

10월 재승인 심사를 앞둔 MBN은 자칫 승인 취소라는 최악의 행정처분을 받을 수도 있어 상황이 더 심각하다. 종합편성채널 출범 당시 자본금을 불법 충당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기 때문이다. 관련 의혹으로 2019년 검찰의 압수수색까지 받았으며, 일부 경영진은 유죄판결을 받아 소송 중이다. 방통위는 조만간 MBN 행정처분을 위한 청문 절차를 진행한다.

방송업계 한 관계자는 "MBN 내부에서도 많이 시끄러운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직원들 생계때문에 승인 취소는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얘기도 많지만, 역대급 위기인 것은 맞다"고 말했다.

지상파도 역대급 위기에 직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광고수익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지상파는 2019년 영업손실 2140억원을 기록하는 등 2017년부터 3년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 중이다.

우상호 의원(더불어민주당)은 8일 열린 과방위 국정감사에서 재정난이 심각한 KBS의 경우 사회적 합의를 거쳐 수신료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한상혁 위원장은 "필요성에 공감하지만 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고 답했다. 수신료 인상 논의는 여야 의원들 간 이견이 심해 합의가 어려워 매년 좌절됐다.

중간광고를 하지 못하는 지상파 방송사들은 한 프로그램을 2, 3부로 쪼개 그 사이에 광고를 넣는 PCM을 자구책으로 내세운다.

이같은 행보는 일부 정치권에서 비난을 받는다. 최근 예능과 드라마뿐 아니라 보도·시사 프로그램에까지 확대 도입해 비난 여론이 커졌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조명희 의원(국민의힘)은 "지상파 PCM 프로그램이 5년새 43배 늘었다"며 "MBC와 SBS는 메인뉴스에도 PCM을 도입해 시청권을 침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밖에 중소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와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들도 어려움을 겪는다. PP업계 한 관계자는 "지상파가 어렵다고 난리인데, 중소 PP는 얼마나 더 힘들겠냐"며 "CJ ENM은 프로그램 사용료를 인상했지만, 중소 사업자들은 그러지 못하는 등 사업자 간 양극화도 심해지고 있다"고 말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