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2030년까지 인공지능(AI) 반도체 시장에서 20%의 점유율을 달성하고, 20개의 혁신기업과 3000명의 고급인재를 양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 부처는 12일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로 열린 제13회 과학기술 관계 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이 담긴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을 발표했다.

앞열 왼쪽부터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성윤모 산업부 장관·정세균 국무총리가 12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열린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주재 및 AI반도체 및 R&D 우수성과 관련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 국무총리실
앞열 왼쪽부터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성윤모 산업부 장관·정세균 국무총리가 12일 경기도 성남시 판교 시스템반도체 설계지원센터에서 열린 제13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주재 및 AI반도체 및 R&D 우수성과 관련 전시를 관람하고 있다. / 국무총리실
이들은 'R&D 우수성과 범부처 이어달리기 추진방안'을 토론안건으로 의결했다. 보고 안건인 '공공연구기관 R&D 혁신방안 중 국립연구기관 후속 조치'도 접수했다.

AI 반도체는 데이터 학습·추론 등 인공지능의 핵심 연산을 수행하는 시스템반도체다. 모바일·자동차·가전 등 다양한 산업 분야와 융합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AI 반도체 선도국가 도약을 위해 2030년까지 ▲글로벌 시장 점유율 20% ▲혁신기업 20개 양성 ▲고급인재 3000명을 양성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2대 전략과 6대 실행과제를 마련한다. 2020년부터 향후 10년간 1조원이 넘는 예산을 투입한다.

2020년부터 서버·모바일·에지 분야 NPU(신경망 처리 장치), 미래 신소자, 미세공정·장비를 개발한다. 2029년까지는 초고성능·초저전력의 '차세대 AI 반도체(뉴로모픽 3세대)'를 개발한다.

데이터댐 인프라와 광주 인공지능 클러스터 등 공공·민간 분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인공지능 반도체를 시범 도입한다.

기업과 정부가 1대1 투자하는 AI 반도체 아카데미 사업을 신설해 고급인재 3000명을 양성한다.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산업통상자원부
인공지능 강국 실현을 위한 인공지능 반도체 산업 발전전략/ 산업통상자원부
2030년까지 수요 맞춤형 AI 칩 50개를 출시하고 팹리스와 IP 기업 간 공동 R&D와 디자인하우스의 팹리스 협력 등(IP 설계, 공정 최적화)을 지원한다.

정부는 우수 R&D 성과에 부처 후속 지원 역량을 모으는 'R&D 성과 이어달리기 협의회'를 운영하기로 했다.

혁신성·선도성이 높은 R&D 성과를 주기적으로 발굴하고, 실용화·사업화 등 구체적인 성과가 예상되는 잠재력 높은 성과를 선정한다. 선정된 성과별로 후속 R&D, 혁신조달 등 공공수요 연계, 제도개선, 투자·융자 지원 등 성과에 따라 필요한 맞춤형 후속 지원을 추진한다.

정부는 2021년부터 16개 국립연구기관 R&D 추진전략·수행역량·성과창출 등을 종합 분석해 R&D 예산편성 및 평가에 환류하는 체계를 도입한다.

AI 반도체 혁신기업 스케일-업(Scale-up) 촉진을 위해 대규모 뉴딜펀드를 지원하고, AI 반도체 혁신설계센터도 신규 구축한다.

최기영 과기정통부 장관은 "AI 반도체는 향후 AI 시대를 위한 데이터 댐 등 디지털 뉴딜의 핵심 인프라로 우리의 강점을 바탕으로 민간과 정부가 협력한다면 세계 최고 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는 유력 분야다"라며 "제반 정책과제를 차질없이 시행해 세계 AI 반도체 선도국가로 이끌겠다"고 말했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AI 반도체는 4차 산업혁명,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반도체 시장을 바꿀 게임 체인저이자 시스템반도체 분야의 핵심성장 엔진이다"라며 "지난 20년간 우리 수출과 경제성장을 견인한 반도체 산업 역량을 바탕으로 메모리반도체 초격차를 유지하고 AI 반도체 신격차를 창출해 2030년 종합 반도체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