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같은 공중보건위기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기존 보건의료 인프라 강화돼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는 27일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코로나19 9개월, 지금까지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주제로 열린 코로나19 대응 중간평가 및 장기화 대비 포럼에서 "기존 역학조사와 접촉자 추적조사 체계에 개편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동현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의료 인프라 강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질병청 유튜브 갈무리
김동현 한림대 의대 사회의학교실 교수가 대한상공회의소에서 보건의료 인프라 강화를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 질병청 유튜브 갈무리
이번 포럼은 코로나19 장기화에 대비해 방역·의료 전략을 재정립하고, 사회적 거리두기 기준과 내용을 개편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김 교수는 이날 조기진단과 접촉자 관리, 효율적 치료, 마스크 등 개인 보호 장비와 공중보건 인프라가 우리나라의 코로나19 대응 성과에 기여했다고 밝혔다. 다만 앞으로 닥칠 공중보건위기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감시·모니터링 체계 구축 ▲역학조사와 접촉자 관리 체계 재정립 ▲범부처·민관 협력 거버넌스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역학조사 및 접촉자 관리 체계 재정립’이 가장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현장에서 당장 역학조사와 접촉자 추적조사 등과 관련해 지적되는 문제점이 많다"며 ▲역학조사를 통해 얻어진 정보가 표준화·전산화되지 못했다는 점 ▲시·도를 넘어가는 사례의 경우, 역학조사 정보가 연계되지 못한다는 점 ▲역학정보-임상정보가 연계되지 못한다는 점 ▲접촉자 분류 기준이 구체적이지 못하다는 점 등을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심층역학조사만 하더라도 정보가 전산화되지 못해 정보 공유에 시간이 오래 걸리고 있다"며 "확진자 수가 하루에 1000~2000명을 넘어서면 현 시스템으로는 효율적인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심층역학조사 필수 항목을 표준화한 뒤 이를 현장에서 실시간으로 전산망에 입력할 수 있도록 관련 표준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시·도별 접촉자와 동선 추적자료 연계와 관련해선 "전산화 문제는 행정안전부 자료와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 등을 연계하는 것이 대표적이다"라며 "타 시·도에서도 이 정보에 원활하게 접속할 수 있다면 집단감염 발생 상황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김 교수는 공중보건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부처 간 또는 민관이 협력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협력 거버넌스가 구축될 경우 통합적 보건의료 인프라가 강화될 수 있고 신속한 실행력을 갖출 수 있다는 설명이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