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1월 28일 구체적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우선순위와 접종 기관, 시기, 이상반응 관리 체계 등을 발표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집단면역 형성을 위해선 보다 체계적인 계획이 수립돼야 한다는 전문가 목소리가 나온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2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코로나19 백신 예방접종 종합 계획을 곧 발표한다. 의료계와 별도 회의를 개최하고 백신 접종계획과 민간 의료인력 지원 등의 논의를 마친 상태다.

보건당국은 9월까지 전 국민의 70%를 대상으로 1차 접종을 시행하고 11월까지는 집단면역을 형성하겠다는 목표다. 현재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와 아스트라제네카, 얀센, 화이자, 모더나 등 개별 제약사로부터 백신 구매계약을 체결해 총 5600만명분을 확보했다. 여기에 최근 노바백스와 추가 2000만명분에 대한 구매 계약을 거의 완료한 상태다. 초도 물량 5만명분은 코백스 퍼실리티로부터 2월 공급받을 예정이다. 화이자 백신이 유력하게 검토된다.

의료계는 정부의 이같은 목표를 두고 "백신 접종 과정에서 조금만 차질이 생겨도 목표를 달성할 수 없다"고 입을 모은다. 해외로부터 백신 물량을 확보하는 것부터 저온 유통이 가능한 콜드체인 환경 마련, 의료 인력 교육, 접종 시설 확보, 부작용 모니터링 등 전과정에 이르는 체계가 꼼꼼히 수립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가장 공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으로 꼽히는 건 국민의 70%가 접종할 수 있는 제반 여견을 마련하는 것이다. 현재 정부가 확보한 백신 중 메신저 리보핵산(mRNA) 방식의 화이자, 모더나 백신은 각각 영하 70도와 영하 20도의 보관 환경을 요구한다.

정재훈 가천대 의대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백신 보관·운송 과정에서 생기는 문제는 백신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지난해 발생한 독감 백신 상온노출 사고를 참고삼아 철저하게 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 접종 후 형성된 항체가 어느 정도 지속되는지 등에 관한 구체적인 데이터도 충분하지 않은 상황인 만큼, 재접종 계획을 고려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사 한 관계자는 "해외에선 면역력을 오랜 기간 유지하는 차원에서 2차 백신 접종을 권고하는 분위기다"라며 "일부 연구는 2차 백신 접종으로 코로나 바이러스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항하는 중화항체가 형성된다는 논제를 제기한다"고 말했다.

접종 인력을 대상으로 한 사전 교육과 부작용 등 이상반응 모니터링 체계 수립도 필수로 꼽힌다.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백신 접종으로 인한 부작용과 불의의 사고가 있을 수 있어 높은 수준의 대비책이 필요하다"며 ▲백신 접종 부작용 의심 증상 발생시 의료진 대응 지침 및 보상 방안 마련과 ▲ 접종 관련 의료분쟁 발생시 의료기관 면책 및 보호 지원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 밖에도 전문가들이 우려를 내비치는 부분은 공급 차질에 따른 접종 지연이다. 해외 공급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대비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실제 유럽에선 백신 공급 협력사에서 생산을 제대로 못하거나 생산시설 공사 등으로 인해 접종이 지연되는 사례가 발생한다. 아스트라제네카와 화이자는 이에 일부 국가에 한해 백신 납품량을 줄이거나 납품 일정을 조정한 상태다.

이에 대해 우리 정부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한국은 국내 위탁생산 백신을 위주로 공급받기 때문에 공급 계획에 차질이 생기기 어렵다는 분석이다. 현재 국내서는 SK바이오사이언스가 아스트라제네카와 노바백스 백신을 위탁생산한다.

익명을 요구한 의료계 한 관계자는 "물량 선점에 성공한 일부 국가에서도 공급이 지연되는 사태가 벌어지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백신 확보전에서 뒤처진 국가이기 때문에 해외를 거쳐 들여오는 백신의 경우, 접종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