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이후 디지털 전환이 빠르게 이뤄지면서 전자문서 시장이 커지고 있다. 특히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는 올해 도입 기관 수가 200곳을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성장하는 시장을 잡기 위해 관련 업체도 사업 확대에 나섰다.

/ 아이클릭아트
/ 아이클릭아트
15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따르면 2021년 1월 말 기준 모바일 전자고지를 도입한 기관은 총 206곳이다. 지난해 6월 100여곳 규모였던 것과 비교하면 2배 가량 늘었다. 기관 종류별로는 민간이 99건, 지방자치단체 73건, 공공기관 30건, 부처 4건 등이다.

모바일 전자고지는 모바일 앱, 문자메시지(MMS) 등으로 전자문서를 받아볼 수 있는 서비스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으로 자동차세, 주민세, 재산세 등 각종 지방세를 확인하고 바로 납부할 수 있다. 현재 모바일 전자문서 중계사업자로 지정된 곳은 카카오페이·KT·네이버·NHN페이코 등 4곳이다.

KISA 관계자는 "정부 부처 중심으로 전자고지 사용이 확대되면서 산하 기관이나 공공기관도 적극 사용하는 추세다"며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에 진입하려는 사업자도 늘어날 것으로 본다"고 했다.

플랫폼 강화·환경 보호, 두마리 토끼 잡는다

핀테크, 통신, 포털 등 다양한 업체가 모바일 전자고지 시장에 뛰어든 이유는 사업 확장성이 크기 때문이다. 특히 핀테크 기업은 자사 서비스와 시너지 효과를 노린다. 금융, 생활, 공공 등을 아우르는 생활 밀착형 플랫폼으로 거듭난다는 방침이다. 예를 들어 NHN페이코의 경우 결제 서비스로 시작해 지난해 10월에는 전자문서지갑 등을 선보이며 플랫폼을 강화했다.

NHN페이코 관계자는 "청구서 수납을 통한 결제 서비스와 전자문서 발급, 확인을 위한 본인 인증 서비스 등과 연계해 이용자 편의를 강화하는 방식으로 전자문서함 서비스를 고도화하고 있다"며 "다른 사업과의 시너지도 고려하고 있다"고 했다.

또 데이터 시장 주도권을 선점하기 위한 시도로도 풀이된다. 전자문서를 마이데이터 서비스에 접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경우 차량관리 종합 서비스인 ‘마이카’에 자동차세 납부 기능을 연동해 경쟁력을 높였다. 네이버 앱에서 자동차세 연납 신청 기간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세금을 줄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또 네이버는 전자문서 서비스를 강화하기 위해 지갑(가칭) 서비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네이버 관계자는 "현재 각각 분리된 인증서, 전자문서, 자격증 등을 한 데 모은 서비스를 선보일 계획이다"며 "3월 말 출시를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기업 이미지 개선에도 도움이 된다는 판단이다. 모바일 전자고지 서비스를 통해 우편 안내장에 사용되는 종이 사용을 절감할 수 있어 환경 보호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다. 실제 카카오페이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카카오페이 모바일 전자고지로 약 9000만장의 종이를 아끼는 효과를 냈다. 나무 9000그루를 보호한 셈이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모바일 전자고지를 통한 종이 사용량 감축으로 탄소 배출량 저감, 산림보호 등 환경 보호 효과를 보고 있다"며 "다양한 금융사와 적극적인 전자문서 영역의 협업을 통해 금융 산업 전반의 ESG 경영과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수 있도록 카카오페이 차원에서 노력할 예정이다"고 했다.

"전자문서 이용률 70% 시대"

한편 KISA에 따르면 전자문서 시장 규모는 지난해 939억원에서 2023년 2조1000억원까지 성장할 전망이다. 정부도 지난해 12월 전자문서 효력을 인정하는 전자문서 및 전자거래 기본법’이 시행에 발맞춰 제도 개선 등 관련 분야를 지원해나갈 방침이다. 과기부는 모바일 전자고지 활성화를 위해 ‘페이퍼리스 촉진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5~6개 기관을 선정해 최대 2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과기부 관계자는 "작년에 지원한 기관들이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발송을 시작하면서 발송 건 수가 대폭 늘어날 것으로 본다"며 "전자문서 이용률도 2019년 66%에서 지난해 69% 수준으로 증가했으며 올해는 70%를 넘을 것으로 전망한다"고 했다.

장미 기자 mem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