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은 한국판 뉴딜 사업의 핵심 기술 중 하나다. 2021년 정부 정책에도 적극 반영됐다. 디지털뉴딜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외에 각 부처가 AI를 현장에서 실제로 활용하기 시작하며 주목을 끈다.

15일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등 정부 주요 부처가 AI 중심의 신규 과제를 추진 중이다. 각 부처는 국가정보화 기본·시행 계획에 따라 AI, IoT(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을 도입하며, 환경부는 수재해·재난 해결안으로 AI를 낙점했다.

 / 아이클릭아트
/ 아이클릭아트
1월 기상청이 발표한 '2020년 이상기후 보고서'에 따르면, 한 해 발생한 태풍·호우 피해액은 1조2500억원에 이른다. 최근 10년 평균의 3배를 넘어선 수치다.

환경부는 실시간 빅데이터 기반으로 홍수를 예측하는 AI를 도입한다. AI로 기상 상황을 자동 분석·예측해 수해에 대응한다. 2023년까지 총 신규 사업비 498억원을 투입한다.

댐 안전 관리 체계에도 AI를 활용한다. 데이터 수집에 AI 등 신기술을 사용하며, 수위·강수량 등 수자원 정보 실시간 수집을 위한 인공위성도 개발한다.

2020년 논란이 일었던 수자원 관리에도 AI가 활약한다. 환경부는 물관리 모든 과정에 AI 등 신기술을 활용해 실시간으로 상황을 감시한다. AI 기반 스마트 관리는 광역정수장 43개, 광역상수도 48개를 포함해 전국 모든 지방 상수도 및 하수처리 등에 적용된다.

2018년부터 꾸준히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을 이어간 해양수산부는 다양한 연구로 2021년 AI 활용 범위 확대를 위한 기반 확보에 나선다. 해양수산부는 어획량 분석 및 예측을 위한 AI를 비롯해 사이버 보안관제 시스템, AI 기반 해양 예측, 한국형 어장 변동 예측 등을 연구한다.

또한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를 확대·조성해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 스마트 양식 클러스터는 AI·IoT·순환여과 시스템 등을 도입한 미래형 양식장으로, 연구·생산·가공 등 전 과정에 해당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

고용노동부는 AI 고도화를 통한 일자리 정보 플랫폼 업그레이드를 추진한다. 표준직무기술서와 매칭 결과 등을 추가 학습데이터로 활용해 똑똑한 AI를 만든다. 자체 운영 중인 온톨로지센터를 추가 지원해 독자적인 기술과 데이터 확보에 나선다. 2019년 설립된 온톨로지센터는 AI 매칭을 발전시키기 위한 자연어처리(NLP) 관련 연구를 이어왔다.

고용노동부 연구는 일자리 정보 플랫폼의 챗봇에도 활용되며, 부정수급 의심 사업장 감시에 빅데이터·머신러닝 등 AI기술을 사용한다 .

국방부는 실시간 국토 감시를 위해 AI를 도입하고, 교육부는 국민의 AI 이해도 향상을 위한 교육 정책과 교육 도구로써 AI 활용 정책을 동시에 진행한다. 보건복지부는 AI와 IoT로 고령자의 건강을 관리하는 사업을 확대 추진해 스마트 의료 확산에 나선다.

정부 산하기관도 AI 도입에 속도를 낸다. 특허청은 15일 AI 기술을 특허 관련 시스템에 도입했고, 기상청은 AI 예보보좌관과 AI 기반 한반도 강수 예측 개발 등에 106억원을 투자한다.

정부 부처의 AI 도입 속도는 갈수록 빨라질 전망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AI를 활용하는 것은 단순한 정부 정책의 방향성에 따라가는 조치가 아닌, 문제 해결을 위한 발전한 기술 도입으로 이해하면 된다"며 "AI 관련 사업은 현재 시범 단계지만, 데이터 확보와 현장 적용을 통해 안정적으로 정착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주상 기자 sjs@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