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 풀었지만 결국 콘텐츠 싸움

정부가 ‘점수보상형 아케이드 게임’ 시범사업을 시작할 예정인 가운데 업계 전문가들이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침체된 국내 아케이드 게임 산업의 활로를 모색하겠다는 취지에는 동의하면서도 단순히 규제만 푸는 것이 해결책은 아니라는 지적이다. 새로운 형태의 콘텐츠 경쟁력을 키우는 한편 이용자 인식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문화체육관광부
/문화체육관광부
8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정부가 내놓은 ‘가족형 오락센터 내 점수 보상형 아케이드게임 서비스’의 시범사업자 선정과 관련해 우려의 목소리를 낸다. 이미 망가진 아케이드 게임이 살아나기엔 이번 규제 완화가 부족하다는 의견이다.

앞서 정부는 7일 열린 16차 신기술·서비스 심의위원회를 통해 ‘가족형 오락센터 내 점수 보상형 아케이드게임 서비스’의 시범사업자 4곳을 선정했다. 점수보상형 아케이드 게임은 이용자가 일정 수준 이상 점수에 도달하면 보상 차원에서 경품을 교환받을 수 있는 게임이다.

아케이드 게임 산업은 가상현실(VR) 게임 등의 성장에 따라 가족친화형 게임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지만 규제(정부는 2007년부터 사행성 조장을 이유로 등급분류 거부했다)로 인해 내수 시장이 침체됐다. 관련 업체는 해외로 눈을 돌렸다.

이에 문체부는 침체된 아케이드 게임 산업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고 오락실이 가족친화형 여가 공간으로 정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범 사업을 진행키로 했다. 규제샌드박스 제도를 활용해 시험·검증(실증 특례)하기로 결정하고 2023년까지 2년간 시범사업을 진행한다.

반면 전문가들은 규제 완화만이 답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위정현 한국게임학회장(중앙대 교수)은 "아케이드 게임은 2007년 바다이야기 사태로 각종 규제가 생기면서 초토화된 지 오래다"며 "모바일·PC 게임과 차별화된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위 학회장은 "이번 규제 완화만으로는 큰 영향을 끼치긴 힘들 것이다"라고 했다.

박정일 AI 크리에이터(전 한양대 컴퓨터SW 겸임교수)도 같은 의견을 냈다. 박 크리에이터는 "이번 규제 완화는 환영할 만하지만 오락실의 대중적 인식이 안 좋은 것이 현실이다"라며 "오락실 게임의 이미지 변화를 위해선 결국 경쟁력 있는 게임 개발이 필수다"라고 강조했다.

조경준 기자 joju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