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T(대체불가능토큰) 열기가 상당하다. 쉽게 복제될 수 있는 디지털 콘텐츠도 NFT화하면 경제적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기자도 직접 NFT를 발행해봤다. 과거 재미로 연재했던 웹툰 기반 캐릭터를 자산으로 만들어 거래소에 등록했다.

NFT이미지/픽사베이
NFT이미지/픽사베이
초보자 접근성 높인 ‘사용자 제작 NFT 마켓플레이스’

먼저 나의 디지털 콘텐츠를 발행할 NFT 마켓플레이스 플랫폼을 골라야 했다. 국내 마켓은 대부분 플랫폼의 심사와 큐레이션 기능을 통해 승인된 거래만 허용하는 ‘비사용자제작 NFT마켓플레이스' 모델로 운영된다. 그렇기 때문에 누구나 자유롭게 NFT를 발행해 판매할 수 있도록 하는 오픈씨(Opensea) 같은 ‘사용자제작 NFT 마켓플레이스' 모델을 찾아야 했다.

그라운드X에서 블록체인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만든 ‘크래프터스페이스(Krafterspace)’가 눈에 들어왔다. 크래프터스페이스는 NFT발행 과정을 지원할 뿐 직접적인 마켓 기능은 수행하지 않는다. 다만 오픈씨 같은 해외 최대 플랫폼과 지갑을 연결해 발행된 나의 작품을 판매할 수 있다. 발행에는 특별한 비용도 들지 않는다.

오픈씨에 접속해 나의 NFT자산을 팔려면 가상자산이 필요하다. 작품을 판매하기 위해 장터에 내놓는데 수수료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갑도 있어야 한다., 그 지갑에는 구매한 가상자산(클레이)이 있어야 한다. 그리고 클레이를 카이카스라는 지갑에 이체시킨 뒤 오픈씨에서 사용하면 된다.

복잡한 절차로 크래프터스페이스 포기…CCCV 마켓으로 변경

문제는 기자가 ‘코인 왕초보'인 동시에 ‘삼성페이 이용자'라는 데 있다. 클레이를 사고, 지갑을 만들기 위해선 거쳐야 할 절차가 만만치 않았다. 우선은 거래소에 가입해서 상장된 클레이를 구매해야만 했다. 그러나 거래소는 대체로 보안 등을 이유로 입금 이후 24시간 등 일정한 시간이 지나야만 가상화폐 자산을 다른 지갑으로 이체할 수 있도록 한다. 카이카스 지갑을 만드는 과정에서 필요한 카드번호를 확인하기 위해선 실물카드도 필요했다.

지나치게 시간이 소요될 것 같다는 판단에 방향을 틀었다. 가상자산과 연계하지 않은 채 NFT를 발행하고 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떠올렸다. 탄생한지 얼마 되지 않은 ‘블로코 CCCV’가 적합해 보였다. 블록체인 기술 기업 블로코XYZ는 ‘CCCV NFT 마켓플레이스’는 보기드문 국내 사용자 제작 NFT 마켓 플레이스다. 앞서 대부분의 마켓플레이스가 플랫폼의 자체 큐레이션 절차를 밟아야 등록과 판매가 가능한 구조지만, CCCV는 누구나 NFT를 발행하고 이를 판매할 수 있다.

NFT발행과 판매 등록 절차는 간단했다. 블로코에 회원가입을 한 뒤 (new) CCCV NFT로 간다. NFT등록을 누르면 바로 등록 페이지가 뜬다.

최대 100메가까지 등록 가능하다. 창작자 이름, 작품의 제목, 발행할 작품의 수량을 결정한다. 기자가 발행해 볼 NFT는 가족과 함께 과거 대학생 시절 짧게 연재했던 일상 웹툰의 ‘짤'JPG다.

돼지토깽이라는 캐릭터로 막상 책상에 앉으면 공부가 하기 싫었던 내용을 표현한 일상만화의 일부를 담았다. 만약에 이 NFT가 팔리면 재거래될 때마다 최초 등록자인 기자가 받을 수 있는 수익의 비율도 등록할 수 있다. 작품에 대한 설명도 짧게 담았다.

NFT 작품을 올리고 판매 등록을 함께 체크한다. 이후 NFT등록을 위해서 동의해야 할 내용이나 유의사항을 확인하고 동의를 표시한다.

손쉬운 작품·판매 등록

동의해야 할 내용에는 ‘발행자 본인이 제3자의 지적재산권, 인권, 개인정보 등 타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으며 본인의 개인정보를 활용하는 경우 본인의 개인정보가 제3자에게 공개, 활용, 제공 등이 될 수 있다', ‘등록하는 NFT에 대한 모든 책임은 본인에게 있다', ‘NFT등록시 부적절한 이미지나 영상, 음악이 포함될 경우 고지 없이 삭제될 수 있다'는 등의 내용이다. 그리고 바로 ‘NFT생성’버튼만 누르면 된다. 금세 내 디지털 자산이 NFT로 만들어진 것이다.

다음 절차는 판매 등록이다. 내 디지털 자산을 NFT 장터에 내놓는 과정도 상당히 간단했다. 휴대폰을 통해 본인인증 절차를 거친 후 판매 정보를 등록하면 된다.

우선 원하는 가격을 책정했다. 원하는 판매 형식도 선택할 수 있다. 스스로 측정한 가격에 팔리도록 하는 ‘일반판매'와 경매에 따라 가격이 측정되도록 하는 ‘옥션판매'를 선택할 수 있다. 판매 기간도 설정할 수 있다.


발행이 쉬웠던 만큼 판매 등록도 굉장히 간편했다. 가격은 100만원에 측정했다. 이제 작품이 판매되기만 기다리면 된다.

마켓에 내 디지털 자산을 입점시킨 김에 다른 작품도 둘러봤다. MBC가 눈에 띄었다. 컬러 방송이 시작된 날 뉴스데스크 화면을 5000원에 NFT화해서 판매했다. CCCV는 거래 과정에 가상자산이 필요하지 않아 ‘코인 왕초보'로서는 마음이 편안했다. 온라인 쇼핑에서 상품을 구매하듯이 카드를 이용하면 됐다.

블로코 CCCV는 평소 코인 등 가상자산을 거래한 경험이 없는 이들에게 자신의 디지털 콘텐츠를 NFT화 해 볼 수 있다. 반면 가상자산 거래에 익숙해 이미 지갑 등을 갖춘 이용자는 그라운드X의 ‘크래프터스페이스(Krafterspace)’등을 이용하면 세계 최대 NFT마켓플레이스 오픈시 등 좀더 넓은 시장에서 자신의 디지털 자산을 판매할 수 있다.

한편 IT조선은 오는 12월 20일 유튜브 생중계를 통해 ‘NFT 활성화와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정책 토론회’를 개최한다.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열리는 이번 행사는 NFT 현황을 분석하고 그 성장 가능성을 전망한다. 또 국내 NFT 관련 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고 효과적인 투자자 보호 방안과 육성, 규제책을 모색한다.

이은주 기자 leeeeunju@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