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2.01.05 09:31
| 수정 2022.01.05 15:09
현대자동차(이하 현대차)가 미래 로보틱스 비전을 공개했다. 로보틱스와 메타버스가 결합된 메타모빌리티(Metamobility) 등을 통해 인간의 이동 경험 영역을 확장하고 궁극적인 이동의 자유를 실현하겠다는 것이다.
현대차는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이하 CES2022)’에서 발표회를 열고 로보틱스 비전을 밝혔다.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은 ▲사용자의 이동 경험이 혁신적으로 확장되는 메타모빌리티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된 Mobility of Things(이하 MoT) 생태계 ▲인간을 위한 ‘지능형 로봇’ 등으로 구체화된다.
현대차는 4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 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된 ‘국제 전자제품 박람회(이하 CES2022)’에서 발표회를 열고 로보틱스 비전을 밝혔다.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은 ▲사용자의 이동 경험이 혁신적으로 확장되는 메타모빌리티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된 Mobility of Things(이하 MoT) 생태계 ▲인간을 위한 ‘지능형 로봇’ 등으로 구체화된다.

메타모빌리티는 스마트 디바이스가 메타버스 플랫폼과 연결돼 인류의 이동 범위가 가상 공간으로 확장된다는 의미로 이를 통해 사용자는 새로운 차원의 이동경험을 할 수 있다. 가상 공간이 로봇을 매개로 현실과 연결되면 사용자는 마치 실제 현장에 있는 듯한 생생한 대리 경험까지 가능하다.
현대차는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기술 등의 혁신으로 미래 모빌리티 간 경계가 파괴되고 자동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MoT 생태계의 경우 로보틱스 기술을 통해 모든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된 것을 의미한다. 현대차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플러그 앤 드라이브 모듈(이하 PnD 모듈), 드라이브 앤 리프트 모듈(이하 DnL모듈) 등을 선보였다.
지능형 로봇은 지각 능력을 갖추고 인간 및 외부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로보틱스 기술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팟, 아틀라스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차는 인간의 한계 극복을 돕는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 기술도 적극 개발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로보틱스는 더 이상 머나먼 꿈이 아닌 현실이다"며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통해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모빌리티로 확장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한계 없는 도전을 이어가겠다"며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이 인류의 무한한 이동과 진보를 가능하게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조성우 기자 good_sw@chosunbiz.com
현대차는 이 과정에서 인공지능(AI), 자율주행 기술 등의 혁신으로 미래 모빌리티 간 경계가 파괴되고 자동차,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 다양한 모빌리티가 메타버스 플랫폼에 접속하는 스마트 디바이스 역할을 할 것으로 보고 있다.
MoT 생태계의 경우 로보틱스 기술을 통해 모든 사물에 이동성이 부여된 것을 의미한다. 현대차는 이를 실현하기 위해 플러그 앤 드라이브 모듈(이하 PnD 모듈), 드라이브 앤 리프트 모듈(이하 DnL모듈) 등을 선보였다.
지능형 로봇은 지각 능력을 갖추고 인간 및 외부환경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로보틱스 기술이다. 보스턴 다이내믹스의 스팟, 아틀라스 등이 대표적이다. 현대차는 인간의 한계 극복을 돕는 다양한 웨어러블 로봇 기술도 적극 개발하고 있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로보틱스는 더 이상 머나먼 꿈이 아닌 현실이다"며 "현대차는 로보틱스를 통해 위대한 성취를 이루고자 한다"고 말했다.
정 회장은 이어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모빌리티 솔루션을 메타모빌리티로 확장할 것이며 이를 위해 한계 없는 도전을 이어가겠다"며 "현대차의 로보틱스 비전이 인류의 무한한 이동과 진보를 가능하게할 것이다"고 강조했다.
조성우 기자 good_sw@chosunbiz.com
키워드
관련기사를 더 보시려면,
- [CES 2022] 현대차 찾은 우태희 대한상의 부회장 “퍼스널 모빌리티 흥미롭다"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포토] 나 어때요? 미래차 경쟁 장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최종 미션 기념품 ‘핫도그’를 향한 SK의 친환경 여정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SK이노, 솔리드파워와 '930㎞ 주행' 전고체 배터리 만든다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현대차, 유니티와 메타버스 가상 공장 구현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LG전자 부스에서 모두가 폰만 쳐다본 이유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장동현 SK 부회장 “신규 투자, 4대 핵심사업 위주로”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실버라도 EV 공개한 GM, 포드 F-150 라이트닝에 맞불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스텔란티스 전기 컨셉카 공개·소니는 전기차 진출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미래먹거리 뭐 있나’…개막일부터 각사 CEO 부스 탐색전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한종희 부회장 “대형 M&A, 조만간 좋은 소식 나올 것”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한종희 부회장, LGD와 OLED 동맹 가능성 열었다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전시장 빈공간 ‘뻥뻥', 주요 車기업 불참 실감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이재승 삼성전자 사장 “작년 국내 가전 매출 80%, 비스포크로 달성”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포토] CES에 가도 스타벅스는 못 참지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2년만에 돌아온 오프라인 CES 2022 개막…2200개 기업 열전 대장정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OLED 없었던 비밀의 문…삼성 퍼스트룩 주인공은 '더 프리스타일'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배우러 왔다는 정의선 현대차 회장, 열린 자세로 글로벌 협력 추진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이틀간 리허설만 10번…한종희 부회장 CES 성공 데뷔 뒷 이야기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완성차 SW솔루션 공략 퀄컴, 자신감 원천은 개방성·확장성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삼성전자, 나만의 스크린 ‘더 프리스타일’ 선봬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한종희 부회장 “맞춤형 기술 혁신으로 지속가능 미래 만들자”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현대차, 4족보행·인간형 로봇 전시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퀄컴, MS와 손잡고 차세대 AR칩 개발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외계인 소행?…삼성D, 두번 접는 폴더블·미끄러지는 OLED 선봬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삼성D ‘공개’한 QD디스플레이, 삼성전자는 ‘비공개’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삼성D, 차원 다른 밝기 ‘QD디스플레이’ 최초 공개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호텔 이상의 경험”…억소리 나는 갤S21FE 공개 ‘얼리전트 스타디움’ 대관료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갤럭시S21FE, 팬심 담아 성능 ‘업’·가격 ‘그대로’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LG전자, 올레드 TV에 NFT 플랫폼 탑재한다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삼성전자, 강화된 스마트홈·갤럭시 S21 FE 5G 선봬 라스베이거스=이민우 기자
- [CES 2022] LG, 최고 화질 TV '올레드 에보' 42~97인치로 확장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라스베이거스 불참 웨이모의 로보택시, 샌프란시스코서 조우 샌프란시스코=이민우 기자
- [CES 2022] 240㎐ 응답률에 고품질 셀피…삼성, 갓성비폰 '갤럭시 S21 FE' 공개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손님이 돌아왔다'…오미크론 긴장 속 들뜬 라스베이거스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삼성, NFT 탑재 마이크로LED·QLED로 '맞춤 스크린' 시대 활짝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 [CES 2022] “악수 거절하려면 빨간 스티커 붙이세요” 라스베이거스=이광영 기자
Copyright © IT Chos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