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국내 반도체 기업이 주력으로 삼는 메모리반도체 가격이 올해 하반기 더 하락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공포와 함께 IT 기기 출하량도 줄어들면서 메모리반도체 가격 하락과 수요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잇따른다.

22일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올해 3분기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이 2분기보다 각각 3~8%, 0~5% 하락할 것으로 관측했다.

고용량 512GB CXL D램 / 삼성전자
고용량 512GB CXL D램 / 삼성전자
트렌드포스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인플레이션으로 소비자용 전자기기에 들어가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위축한 것에 따른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PC용 D램 가격은 DDR4 기준 3~8% 하락이 예상된다. 올해 1분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한국 업체들의 매출 성장에 기여한 서버용 D램도 재고량이 7~8주쯤으로 많은 여파로 가격이 0~5% 하락이 점쳐진다. 모바일용 D램 가격은 스마트폰 판매량 감소 영향으로 3~8% 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전자·부품 기업은 올해 원자재 공급망 불안과 글로벌 경기둔화 우려가 지속하자 수요 위축을 예상하고 제품 생산량을 조정 중이다.

3분기 낸드시장도 D램과 비슷한 분위기일 것으로 보인다. 낸드 제조사들의 생산량은 매달 늘어나는데 PC나 스마트폰, IT 기기들의 수요는 점차 줄고 있어서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최근 올해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을 2021년보다 3500만대 줄어든 13억5700만대로 전망하기도 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최근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의 금리 인상)을 결정하면서 메모리 기업들의 주요 고객사인 클라우드 업체들의 서버 투자도 위축될 것이라는 관측을 제기했다.

증권가 전망도 부정적이다. 이승우 유진투자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완제품 수요 둔화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라며 "메모리 출하도 결국 기존의 시장 예상을 밑돌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유진투자증권은 최근 올해 삼성전자의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 60조7000억원에서 58조3000억원으로 낮췄다. DB금융투자도 기존 63조5000억원에서 59조7000억원으로 전망치를 낮춰잡았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