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박상훈 기자] 국산 소프트웨어(SW) 업체와 외산업체 간의 유지보수 요율 격차가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대표 조현정)에 따르면 현재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국산 SW의 유지보수 요율은 평균 10~11%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협회는 지난 2월부터 4월까지 SW 기업을 대상으로 유지관리 실태를 조사했으며, 이미 유지보수 요율이 알려져 있는 외산 SW 기업은 제외했다.

 

이러한 국산 SW의 유지보수 요율은 외산 SW에 비하면 절반 이하다. 오라클은 원칙적으로 SW 정가의 22%를 받고 있고 다른 외산 업체들도 20% 이상을 요구한다. SW를 대량으로 구매하면 일부 할인을 해 주지만, 이미 핵심 업무에 사용되는 SW여서 기업들이 가격을 낮춰달라고 협상할 수 있는 여지가 많지 않다.

 

유지보수료는 해당 SW를 사용하면서 장애가 발생했을 때 개발업체로부터 기술지원을 받거나 기능 개선, 보안 패치 등의 지원을 받기 위한 비용으로, 매년 SW 정가의 일정 비율을 내고 계약을 갱신해야 한다.

 

SW를 사용하는 업체는 안정적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고, SW 개발업체는 기술지원과 기능 개선, 후속제품 개발을 위한 안정적인 수입원을 갖게 된다. SAP, IBM,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SW 기업들은 이를 통해 꾸준히 제품을 강화하면서 성장할 수 있었다.

 

이번 조사 결과, 국산 SW 기업은 외산 기업 대비 여전히 낮은 유지보수료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능 개선이나 신제품 개발 같은 투자 여력도 그만큼 떨어질 수 밖에 없다. 특히 외산 SW와 국산 SW의 가격 차이를 고려하면 제품 가격에 따라 매겨지는 유지보수 금액 차이는 더 벌어진다.

 

안홍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정책연구팀 팀장은 "정부가 2017년까지 유지보수료율을 15%로 올린다는 방침은 이미 나왔고, 내년 공공부문 SW 유지보수 요율을 평균 12%로 인상하는 가이드라인이 최근 확정됐다"며 "일단 공공 부문에서 유지보수료가 현실화되면 민간 영역으로도 확산돼 국산 SW업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훈 기자 nanugi@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