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유진상 기자] 세월호 사건 이후 재난 대응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에 대한 관심이 높다.

 

정부 역시 지난 5월 재난 재해와 관련해 범부처 공동으로 빅데이터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 사업을 확대키로 하는 등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재난 대응 시스템에 빅데이터를 도입하기에는 시급하게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정보통신 최상위 의결기구인 정보통신전략위원회는 지난 5월 ICT(정보통신기술) 기본 계획안을 의결했다. 계획에는 재난재해와 관련해 범부처 동공으로 빅데이터 기반 재난 대응 시스템 구축을 골자로 하고 있으며,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 대비와 ICT 기술을 활용해 재난에 대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지난 6월에는 한국정보화진흥원 주최로 전자정부시스템과 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국가재난 안전관리 개선전략을 논의하는 ‘국가재난안전 정보화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

 

모두 빅데이터를 적극 활용해 재난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자는데 동의하고 있다. 이미 미국과 일본, 싱가포르, 영국 등 선진국에서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재난 시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우리 기술도 이들 나라와 비교해 뒤쳐지지 않기 때문에 충분히 빠르게 도입이 가능할 것이라고 입을 모은다.

 

하지만 빅데이터가 재난관리시스템에 도입되기까지에는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산적해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우선 빅데이터에 대한 인식 부족이다. 지난 몇 년간 빅데이터라는 말은 꾸준히 회자되어 왔으며, 이제는 빅데이터에 대한 개념은 정확히 인식이 된 것으로 시장에서는 평가하고 있다. 하지만, 사업 발주 입장에서는 여전히 빅데이터 대한 의심을 갖고 있거나 확신을 갖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국내 한 SI 컨설팅 담당자는 “일부 기관 담당자들은 ‘빅데이터가 뭐냐’부터 묻는 경우가 있으며, ‘기관 사업에 빅데이터 도입이 타당하냐’고 묻는 경우도 있다”며, “여전히 빅데이터에 대한 의심과 확신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존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정보시스템에 대한 고정관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관계기관의 실무진들 사이에는 고가의 솔루션이 바로 고신뢰성이라는 것. 대형 서버, 고가의 스토리지, 오라클DB가 아니면 안된다는 식의 인식이 여전히 깊이 남아 있는 것이다.

 

이는 예산 문제와 직결된다. 기관 특성상 빠르게 예산을 반영해 투입하는 게 불가능 할 뿐 아니라 한정된 예산에서 고가의 솔루션을 우선적으로 찾다 보니, 타산이 맞지 않는다.

 

업게 한 관계자는 “사업 예산은 부족한데도 시스템은 엄청난 수준을 요구하는 경우가 잦다”고 말했다.

 

미래부 한 관계자는 “빅데이터 재난 대응 시스템 도입에 있어 시간의 제약과 함께, 사업 진행에 필요한 예산 배정 등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여기에 오픈소스에 대한 불신도 문제다. 하둡과 호튼웍스, 맵알 등 대부분의 유명 빅데이터 솔루션은 오픈소스로 되어 있다. 하지만 유지보수를 비롯해 다양한 이유를 들어 기관에서는 오픈소스에 대한 불신이 남아 있다는 지적이다.

 

통합 컨트롤 타워가 부재와 시스템간의 연계 부족 등도 해결해야 할 문제다. 표면상으로는 국무총리 산하 ‘공공데이터 전략위원회’가 컨트롤타워의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지만, 실제 사고가 났을 때 누가 재난 빅데이터 분야를 총괄하는지는 베일에 쌓여 있다.

 

정중식 목포해양대학교 교수는 “컨트롤타워의 부재는 세월호 사고에서 증명됐다”며 “유무선 선박통합네트워크(SAN) 및 선박자동식별장치(AIS), 선박모니터링시스템(VMS), 해상교통관제시스템(VTS) 등 최첨단 IT기술이 이미 도입되고 있음에도 각 시스템간 네트워크 연동은 여전히 이뤄지지 않는 등 빅데이터를 활용한 재난대응시스템을 보다 빨리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