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김남규] 우리은행 민영화가 투트랙 매각 방식에서 분할매각으로 바뀔 예정이다.

서울 중구 회현동 소재 우리은행 본점.
서울 중구 회현동 소재 우리은행 본점.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네 번째 민영화 시도에 실패한 우리은행의 매각에서 경영권 프리미엄을 포기하고 소수지분 예정매각가격을 인하해 재추진될 방침이다.

우선, 지난달 28일 입찰마감 결과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은 경영권지분 30%에 대한 매각 규모를 줄일 예정이다. 당초 공자위 측은 우리은행의 경영권 행사가 가능한 지분 규모를 30%로 정도로 판단하고, 이 지분에 프리미엄을 더한 가격으로 시장에 매물로 내놓았다.

그러나 유력한 인수 후보로 거론되던 교보생명도 입찰 경쟁을 포기함에 따라, 금융위가 기대했던 둘 이상의 유효경쟁이 성립되지 않아 우리은행 매각이 불발됐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 매각 실패 원인으로 금산분리 등의 규제와 높은 가격을 꼽고 있다. 현재와 같은 경기침체 상황에서 3조원대로 추산되는 매물을 선뜻 인수할 수 있는 금융기관이 전무하고, 각종 규제로 인해 자금력이 있는 기업 역시 나설 수 없기 때문이다.

경영권 지분 분할 매각 방식은 입찰자의 진입장벽을 낮출 것으로 예상돼 더 많은 금융기관이 M&A전에 뛰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경영권 지분 30%에 대한 가격 프리미엄을 낮출 경우 공적자금 회수 100% 달성이 불가능할 우려가 크다.

분할 매각 대상 지분은 현재 예금보험공사가 보유한 우리은행 지분 48.06% 모두가 해당된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우리은행 지분 입찰매각 예정가격이 1주당 최대 1만5000원에서 최소 1만3000원 사이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정부는 지금까지 우리금융에 총 12조7663억원의 공적자금을 투입했고, 지금까지 4차례에 걸쳐 7조4861억원을 회수했다. 미회수 공적자금은 5조2802억원으로, 사실상 분할 매각을 진행할 경우 민영화 성사 가능성은 높아지지만, 공정작금 100% 회수는 어렵게 된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현 단계에서 경영권 지분 분할 매각이 흥행으로 이어질지 여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일”이라며 “우리은행의 지배구조가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쉽게 예상할 수 없는 구조가 됐다”고 말했다.

김남규 기자 ngk@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