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용비리 의혹 사태를 조기에 무마하기 위해 은행장까지 사퇴 의사를 밝힌 우리은행이 이번에는 낙하산 관치 논란에 휩싸일 조짐을 보이고 있다. 모든 책임을 지고 자리에서 물러나겠다는 이광구 은행장의 사퇴 발표 6일 만으로, 민영화 성공을 자축한지 채 1년이 지나지 않아 또다시 낙하산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서울 중구 회현동의 우리은행 본점 전경. / IT조선 DB
서울 중구 회현동의 우리은행 본점 전경. / IT조선 DB
8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번 주 중 이사회를 열어 차기 은행장 선임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임추위) 구성 방식과 주주총회를 위한 주주명부 폐쇄 일자를 논의한다. 이번 임추위에 최대 관심사는 민영화에 성공한 우리은행의 행장 선임 과정에 대주주 예금보험공사(예보)가 얼마만큼의 입김을 작용할지 여부다.

예보는 정부 지분 18.52%를 보유한 상태로, 예보를 대표하는 비상임이사가 임추위에 참여하면 사실상 차기 우리은행장 선임에 정부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이 커진다. 현재 금융노조는 예보 측 관계자가 임추위에 참여한다는 의혹을 제기한 상태로, 관치 금융의 부활을 우려하고 있다.

우리은행이 올해 초 민영화에 성공했다고 자축했지만, 실제 우리은행의 주주현황을 보면 동양생명이 4.0%의 지분을, 미래에셋자산운용 3.7%, 유진자산운용 4.0%, 키움증권 4.0%, 한국투자증권 4.0%, 한화생명 4.0%, IMM PE 6.0% 등 7개 주주사가 29.7%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현시점에서도 여전히 정부의 지분이 가장 많아 사실상 민영화에 성공했다는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우리은행에 투입된 국민 세금을 받아내야 하는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이같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올해 1월에 우리은행장 선출 과정에 예보 측 비상임이사를 제외했다.

하지만, 당시 공자위 역시 만일의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우려해 우리은행의 주주가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안이 발생하면 주주권을 행사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직원 채용비리 문제로 은행장까지 사임하는 초유의 사태가 발생하면서 정부 지분이 주주권을 행사할지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설상가상으로 이달 7일에는 검찰이 우리은행의 채용비리와 관련해 은행 본점을 전격 압수수색하면서 사태는 걷잡을 수 없게 커지고 있다. 우리은행은 갑작스러운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내부 혁신 태스크포스팀(TFT)을 꾸리고 조직 추스르기에 돌입했지만 얼마만큼의 효과를 볼 수 있을지 의문이다.

갑작스러운 사태에 대응하는 정부 측 입장도 난감하기는 마찬가지다. 대주주인 예보가 예상치 못한 우리은행의 수장 공석 현상을 방관할 경우, 자칫 직무유기로 비춰질 수 있다. 반대로 차기 행장 인선에 적극 개입하면 낙하산 인사 논란이 불거질 게 자명하다.

복잡한 현 사안에 세간의 이목이 집중된 가운데, 금융노조 측은 차기 우리은행장 인선에 낙하산 인사 구태가 반복돼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밝혔다. 금융노조는 7일 발표한 성명서에서 "정부가 우리은행장 인선에 참여할 것이라는 소식이 들려온다"며 "과점주주에게 지분을 매각하고도 아직 18.52%의 지분으로 1대 주주인 예금보험공사가 임원추천위원회에 참여하려 한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우리은행 측은 "전 임직원이 스스로 탈바꿈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라며 "혁신 태스크포스 프로젝트를 통해 1만5000 임직원 모두가 한마음으로 화합하고, 고객 신뢰를 회복하는 계기를 마련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