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LTE 통신 기술을 갖춘 수상 드론을 운용합니다. LTE 고속 통신망을 활용한 원거리 조종과 실시간 영상 전송, 자동 주행 시스템까지 갖췄는데요, 물 속을 누비며 산소량과 유해 조류 유무를 조사하고 그 자리에서 대응도 할 수 있는 똑똑한 드론입니다.


LG유플러스는 25일 부산 송정리 미역양식장에서 수상 드론을 시연했습니다. 바다 속 산소량이 급변하거나 괭생이모자반 등 유해 해조류가 생기면 미역 양식장은 막심한 피해를 입게 됩니다.

기존 바다 환경 감시 센서는 고정형이라 시시각각 변하는 바다 상황을 정밀히 측정할 수 없고, 양식 업계는 이변이 생기면 속수무책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LGU+가 공개한 수상 드론. / 차주경 기자
LGU+가 공개한 수상 드론. / 차주경 기자
LGU+가 공개한 수상 드론은 양식장 반경 1㎞를 비롯해 원거리를 스스로 주행하며 바다 속 정보를 수집합니다. 이 정보를 관제 센터로 보내 데이터로 만들면 양식 환경을 가장 알맞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수확량을 늘리는 것은 그 결과물입니다. 여기저기 옮겨다니며 양식장을 정밀히 감시할 수 있고, LTE 전파가 닿는 최대한 먼 거리까지 나아가 유해 해조류가 생겼는지 선제 감시·대응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LTE 통신망을 활용한 실시간 영상 전송, 동작도 돋보입니다. LG유플러스 수상 드론이 바다 속을 정찰하다 유해 해조류를 발견하면 조종자 혹은 관제 센터에 생생한 영상으로 이를 알립니다. 로봇 팔을 장착한 드론을 출동시켜 유해 해조류를 바로 제거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LG유플러스 수상 드론 중계 센터 모습. 수집한 데이터와 이동 경로 등을 기록한다. / 차주경 기자
LG유플러스 수상 드론 중계 센터 모습. 수집한 데이터와 이동 경로 등을 기록한다. / 차주경 기자
LG유플러스 측은 이 수상 드론이 파고 2m 이하 해안, 댐은 물론 강과 하천에서 6시간쯤 운용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해외에서는 항공 드론과 열감지 카메라로 농경지 질소량을 측정, 농작물의 생산량을 늘린 사례가 있습니다.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에서 '드론을 활용한 수자원 생산량 향상 사례'가 나왔다는 점은 고무적입니다.

박준동 LG유플러스 미래서비스사업부 상무는 "LTE 클라우드 관제 시스템과 스마트 드론을 병용하면 농업·배송·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 대응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