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열린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식의 백미 '드론 군집 비행'은 전 세계인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시장조사업체 틸 그룹에 따르면, IT 업계에서 종횡무진 활약 중인 드론 시장의 규모는 2024년 17조7000억원(예측)이 될 전망이다.

한국은 정부 주도로 드론 시장을 육성 중이지만, 성장세는 다른 나라보다 더딘 모습이다. 국내 드론 업계는 국외 기업과의 기술 격차가 크고 공공부문·하드웨어 위주 정책이 성장을 더디게 만드는 원인이라고 지적한다. 돌파구 마련을 위해 기술 개발보다 '서비스 육성'에 집중하는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 드론 경쟁력, 기계 기술 중심에서 서비스 분야로 무게중심 이동

과거 전 세계 드론 시장 주도권은 '군수' 제품군을 앞세운 미국이 가져갔다. 틸 그룹은 2012년 전세계 드론 시장 점유율 대부분(71%)을 미국이 가져간 것으로 계산했다. 하지만, 2021년쯤에는 '중소형 드론 및 상업용 서비스' 부문이 급격히 성장하고, 이 부문 경쟁력을 가진 아시아 시장(22%)이 미국(49%)을 위협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일본 드론 시장이 급성장세다. DJI 매빅 에어(왼쪽)와 NTT도코모 LTE 드론. / DJI·NTT도코모 제공
중국, 일본 드론 시장이 급성장세다. DJI 매빅 에어(왼쪽)와 NTT도코모 LTE 드론. / DJI·NTT도코모 제공
서비스 개발에 주력한 아시아 드론 시장은 실제로 급성장세를 보이며, 중국이 그 중심에 있다. 중국 컨설팅 업체 즈옌은 2017년 중국 드론 시장 규모를 54억위안(9150억원쯤)으로 추산했다. 2018년에는 50% 성장한 81억위안(1조3723억원쯤) 규모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일본 드론 시장의 성장세도 주목할 만하다. 일본 미디어 임프레스종합연구소는 2017년 일본 드론 시장이 2016년 대비 42% 성장, 503억엔(5072억원쯤) 규모로 커졌다고 밝혔다. 이어 2018년 드론 시장 규모는 2017년 대비 71% 늘어난 860억엔(8673억원쯤), 2024년에는 3711억엔(3조7426억원쯤)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2017년 국내 드론 시장 규모가 704억원쯤이라고 밝혔다. 관련 법령을 정비하고 규제를 완화하는 한편, 상업용 드론과 기술 경쟁력을 육성해 2024년경 1조4000억원 규모로 키운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중국과 일본 등 주변국에 비해 한국 드론 시장은 규모와 성장세 모두 뒤쳐지는 모습이다. 드론 업계는 규제 완화와 민관협의체 운용 등 정부의 노력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지만, 정부 부처별 협업이 잘 이뤄지지 않고 정책 노선이 경직됐다고 지적한다.

◆ 시장 규모 키운 중국, 일본처럼 서비스 위주 육성 필요하다는 업계 의견

드론 업계 한 관계자는 "현재 정부 지원책이 드론 기술·하드웨어 위주다"라고 꼬집으며 "서비스·소프트웨어 중심 지원책을 마련하고 기존 산업계와 시너지를 낼 부문을 육중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기존 산업계 인프라와 드론 서비스간 유기적 연결도 필요하다. 가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는 지원 정책도 좋지만, 당장 성과가 나타나지 않더라도 성장 기틀이 될 수 있는 부문에 지원을 해야한다는 것이다.

중국과 일본은 서비스 영역의 경쟁력을 키우는 데 집중한다.

중국 드론 업계는 지금까지 확보한 기술력을 토대로 제품군을 넓혀 전세계 '드론 서비스 시장'을 선점했다. 측량·영상·감시·검사 등 드론 활용 분야가 많은 항공 시장의 90%를 가져가는 등 압도적인 점유율을 가졌다.

드론 항공 촬영 서비스를 응용한 일본 토지·공간분석 소프트웨어 ‘테라 매퍼(Terra Mapper)’. / 테라드론 제공
드론 항공 촬영 서비스를 응용한 일본 토지·공간분석 소프트웨어 ‘테라 매퍼(Terra Mapper)’. / 테라드론 제공
일본 드론 업계도 기기보다는 시설 검사와 공간정보 등 서비스 중심 육성 전략을 세웠다. 현재 일본 드론 기체 시장은 서비스 시장(각각 210억엔, 2166억원쯤 대비 138억엔, 1390억원쯤)보다 크다.

하지만, 2024년 일본 드론 서비스 분야 시장은 기체 시장의 4배 규모(각각 2530억엔, 2조5500억원쯤 대비 730억엔, 7360억원쯤)로 성장할 전망이다.

드론 서비스 업체 한 관계자는 "현 국내 드론 산업 육성책은 직접생산, 기기 및 하드웨어 중심 투자가 대부분이다"며 "중국을 비롯한 드론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크게 벌어진 지금, 기술보다 차별화된 서비스 개발에 주력할 때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