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QR코드를 이용한 간편결제 서비스 ‘제로페이’ 활성화에 사활을 거는 모양새다. 경쟁력 확보를 위해 다양한 정책을 추가로 내놓을 방침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23일 서울시청 본관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로페이 국민운동본부 발족식에서 제로페이 경쟁력 확보 방안으로 신용 기능 탑재 가능성을 시사했다. 박 시장은 또 판공비를 제로페이로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제로페이 활성화 정책을 꾸준히 마련하겠다는 방침이다.

제로페이는 소상공인 신용카드 결제수수료를 0%로 낮추자는 취지로 중소벤처기업부가 추진 중인 사업이다. 2018년 12월 20일부터 서울, 부산, 경남 등지에서 시범 사업을 진행했다. 하지만 금융위원회가 제로페이 시범 사업 직전 카드수수료 인하안을 발표하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 상태다.

박원순 서울시장. / 서울시 제공
박원순 서울시장. / 서울시 제공
박원순 시장은 "신용카드 수수료가 인하되고, 사용에 불편함은 있지만 5월 이후부터는 제로페이 사용이 편해질 것이다"라며 "불편 요소 중 하나인 신용 기능을 케이뱅크가 부가하는 등 불편함이 개선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이어 "공공 영역에서는 판공비를 제로페이로 쓰도록 개발하고 있다"며 "서울시는 공원, 문화예술 기관 입장료 등을 면제하거나 다양한 방법을 채택해 제로페이를 쓰지 않고는 생활할 수 없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특히 "제로페이는 이제 대세가 돼고 있다"며 "간편 결제 회사 중 시범사업에 참여치 않던 카카오페이와 밴(VAN)사가 함께하기로 했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제로페이는 손님이 매장 계산대에 설치된 QR코드를 휴대폰 앱으로 인식하면 등록해 놓은 손님 계좌에서 점주 통장으로 이체되는 간편결제 시스템이다. 가게 주인이 손님 스마트폰 QR코드를 인식해도 된다. QR코드를 매개로 손님이 점주에게 계좌이체를 하는 방식이라 수수료를 0%로 만들 수 있다.

네이버페이, 페이코, 하나멤버스 등 4개 간편결제와 카드 서비스, 20개 은행 앱에서 시범 사범 시행 당일부터 제로페이를 지원하고 있다. 하지만 금융위는 2018년 11월 카드사가 가맹점으로부터 가져가는 카드수수료율을 낮추겠다고 밝히면서 제로페이 차별성이 약해졌다.

금융위원회는 연 매출 5억~10억 가맹점 카드수수료율은 기존 2.05%에서 1.4%로, 10억~30억 원 사이는 2.21%에서 1.6%로 낮췄다. 제로페이 대상이 되는 일반가맹점의 카드수수료가 1.5%라는 것을 고려하면 소상공인 입장에서 제로페이 매력이 떨어진다.

제로페이에 신용 기능을 추가한 케이뱅크가 이같은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케이뱅크는 온·오프라인에서 간편 결제를 할 수 있는 앱 전용 결제 서비스 '케이뱅크페이(케뱅페이)'를 선보이면서, 케뱅페이 전용 마이너스 통장인 '쇼핑머니 대출' 기능을 추가했다.

케이뱅크는 쇼핑머니 대출을 사용할 경우 50만원까지 무이자를 적용한다. 예를 들어, 60만원을 마이너스 통장 방식으로 케뱅페이에서 사용하면 50만원을 초과한 10만원에 대해서만 이자를 물린다.

우리은행 역시 제로페이와 연동되는 신용 기능을 고려 중이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마이너스 통장 방식은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