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오피스가 스타트업 탄생 요람으로 떠올랐다. 스타트업 지원에 적극 나서고 있는 서울시가 민간 공유오피스 업체와 협업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단순히 사무실을 지원하는 게 아니라 투자자나 입주사 간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하는 창업 생태계의 기반을 마련해 줘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연구원은 15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플랫폼경제, 시민을 위한 서울의 과제’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배달과 모빌리티, 공유오피스 등 플랫폼 경제 현황을 짚고, 이를 서울시가 정책으로 보완·발전할 과제를 제안하기 위해 열렸다.

박원순 서울시장이 15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연구원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IT조선
박원순 서울시장이 15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서울연구원 세미나에 참석해 축사를 하고 있다./IT조선
김선웅 서울연구원 도시공간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공간 공유 플랫폼으로서 공유오피스 가능성과 과제를 주제로 발표했다.

김 연구위원에 따르면 서울에서는 올해 7월 기준 70여개 기업이 231개 공유오피스 공간을 운영하고 있다. 공유오피스는 강남 지역에 밀집해 있다. 강남 지역 공유오피스 지점 수는 전체 56.7%(131개)에 이른다. 강남지역 전체 사무공간의 10%가 공유오피스다.

공유오피스 도입 초기였던 2015년에는 사무공간 공실률이 높고 스타트업 창업가가 많은 강남 지역을 중심으로 지점수가 급격히 늘어난 결과다. 다만 최근에는 소셜벤처 창업 공간으로 떠오른 성수동이나 홍대 인근 지역으로 공유오피스가 늘어나는 모양새다. 공유오피스는 대부분 역 반경 500m 이내 역세권에 몰려있다. 대형 오피스 건물에 입점한 경우는 36.2%다.

공유오피스가 창업요람으로 자리잡으면서 입주기업의 수요도 다양해졌다. 공유오피스 도입 초반에는 단순히 공간만 빌리는 수준이었다. 최근에는 홈페이지 제작과 세무회계관리, 노무 상담, 교육프로그램 등 업무지원을 받고 입주사와 투자자 간 네트워킹이 이뤄지는 공간으로 진화했다.

김 연구위원은 "공간을 분할하고 임대해 비품을 지원하는 서비스드 오피스(serviced office)에서 입주사 간 네트워킹, 업무지원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워킹 스페이스(coworking space) 형태로 진화했다"고 말했다.

공유오피스를 활용해 서울시가 공적 역할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된다. 공유오피스를 서울시가 기업지원을 늘리고 창업을 돕는 정책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표적인 방안으로 민관 협력을 통해 신흥고용 중심지에 공유오피스 공급을 늘릴 수 있다. 또한 서울시가 보유한 투자자 네트워크를 공유오피스에 지원하는 방법도 있다.

이미 서울시는 공유오피스와 일부 사업을 공동 운영하고 있기도 하다. 대표적인 사례로 서울시가 여의도 위워크에 조성한 제2핀테크랩이다. 반대로 공유오피스 기업인 르호봇이 서울글로벌창업센터를 운영하는 협력사례도 있다. 해당 공간에 입주한 기업에 서울산업진흥원(SBA) 등 창업초기 투자네트워크를 연결해주는 방안도 나왔다.

김 연구위원은 "서울시 내 공유오피스 시장은 지난 5년 간 5배 이상 증가할만큼 폭발적인 성장을 보여왔던 시장이다"라며 "창업공간으로도 활용되는 만큼 공공의 역할에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