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정부의 추가자료 제출 요구에 시간 걸려
IoT회선 감소추이와 이용자보호계획 못 내
정부 심사 중단, 기지국 점검 일정 못 잡아
시일 촉박해 연내 종료 사실상 불가능

SK텔레콤의 주무 부처 요구 자료 제출이 늦어져 연내 2G 서비스 종료가 사실상 어려울 전망이다. 이 회사는 서비스 종료 신청서를 한달 전에 냈지만 추가 자료를 제출하는데 시간이 걸렸다. 정부가 2G 종료에 필요한 심사 절차를 제 때 밟지 못하게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요구한 자료는 IoT 회선 감소 추이와 이용자 보호계획 등이다. 과기정통부는 SK텔레콤이 낸 자료를 살펴본 뒤 2G 기지국 현장을 점검한다. 전국에 설치한 2G 기지국 수는 10만개에 달한다. 기지국 점검에 상당한 시간이 걸려 물리적으로 12월 2G 서비스 종료가 어렵다.

12일 정부 고위 관계자는 "SK텔레콤이 IoT 회선 가입자 감소 추이를 담은 자료를 제출하기로 했는데 아직 소식이 없다"며 "추가 자료를 제출받은 후 현장 점검 등 2G 종료 승인 절차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LG전자 2G폰 ‘와플’. / 조선일보 DB
LG전자 2G폰 ‘와플’. / 조선일보 DB
SK텔레콤은 11월 7일 과기정통부에 2G 서비스 종료를 위한 신청서를 제출했다. 2G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 현 장비 현황, 종료 고지 이후 고객 관리, 앞으로의 대책 등을 담았다.

SK텔레콤은 신청서 제출과 함께 2G IoT 회선을 집중적으로 해지하면 전체 가입자 대비 1%대로 가입자를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과기정통부는 IoT 회선이 실제 어느 정도 감소했는지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2G 개인 가입자의 서비스 전환을 유도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가입자 수를 획기적으로 줄이기 어렵다. 반면 수백~수천개 규모로 계약을 맺는 IoT 회선의 경우 해지 시 한꺼번에 가입자 수를 줄일 수 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55만명(9월말 기준)의 2G 가입자 중 IoT 회선은 6만개쯤으로 10%가 넘는다. IoT 회선만 모두 해지해도 2G 가입자를 40만명대로 줄일 수 있는 셈이다.

하지만 SK텔레콤은 IoT 회선 해지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졌다. SK텔레콤 관계자는 "IoT 회선 감소 수치를 담은 자료 제출을 준비 중이다"며 "제출 시기는 미정"이라고 말했다.

SK텔레콤의 자료 제출이 늦어지자 과기정통부 심사도 중단됐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SK텔레콤 2G 기지국의) 현장 점검 일정도 잡지 않았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2G 종료를 승인에 앞서 기지국 현장 점검에 나선다. 통신망 유지·보수 시 필요한 부품 확보가 어렵고, 장비 고장이 잦아 이용자 편익에 반하는지 꼼꼼히 살펴야 한다. SK텔레콤의 2G 기지국은 전국 곳곳에 10만개 넘게 있다. 점검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2월 말부터 보도자료, 홈페이지, 문자메시지, 광고 등을 통해 2G 이용자에게 서비스 종료를 알렸다. 연내 2G 서비스 종료라는 명확한 목표를 세운 상태다. 하지만 상당수의 IoT 회선을 해지했다는 결과물을 제출하지 못하면서 연내 2G 종료 계획이 난항을 겪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2G 종료를 위해 전체 가입자 수 대비 종료 가능 기준을 미리 정한 것은 아니지만, 2G 장비의 노후화 상태 때문에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결정할 수는 없다"며 "이용자 보호 조치와 함께 가입자 축소 계획을 제대로 이행 중인지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