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의 인기를 틈 탄 연장 방영은 대체로 득보다 실이 많다. 최루성 신파와 억지 모성애, 과장된 갈등, 늘어지는 전개 등 호평 받던 인기 드라마가 시청자들의 원성을 듣는 과정은 거의 비슷하다.

세계 전기차 배터리 분야를 대표하는 국내 기업도 드라마를 찍는 중이다. 결론이 나올듯 말듯 의도치 않게 종영을 미루며 애간장을 태운다. 썩 반응은 좋지 않다. 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의 ‘배터리 드라마’ 얘기다.

2019년 4월 LG에너지솔루션의 소송 제기로 시작한 이 분쟁은 곧 3년째를 맞이한다. 흥미로운 이슈라도 반복하고 결말이 지지부진하면 피로감이 생기기 마련인데, 분수령이 되는 판결은 아직 나오지도 않았다.

양사 간 영업비밀침해 소송 최종판결은 당초 10월 5일이었다. 하지만 판결을 맡은 미국 ITC는 구체적 배경 설명 없이 10월 26일→12월 10일→2021년 2월 10일로 잇따라 연기했다. 최초 선고일 대비 4개월 늦어진 셈이다.

양사의 소송 관련 대형로펌 지출 비용은 4000억원을 넘은 것으로 추정된다. 판결이 나오더라도 항소와 맞소송을 거듭하면 1조원이 넘는 것도 시간 문제다.

유리한 고지를 점하기 위한 합법적 로비도 서슴지 않는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미 복수의 미 로비업체를 고용해 여론전을 시작했다. SK이노베이션도 최근 로비업체와 계약을 맺어 맞대응에 들어갔다. 양사의 분쟁이 길어질수록 로펌과 로비업체만 웃는 형국이다.

최근 미 하원의원 3명은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에게 합의를 촉구하는 서한을 보냈다. 국익을 위해서다. 한 곳이라도 부정적 판결을 받을 경우 미 경제와 공익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한 것이다.

ITC는 2월 SK이노베이션의 조기패소 예비결정을 내렸다. 우리 입장에서도 국익을 위한다면 세계 5위 SK이노베이션이 국제 사회에서 범죄기업으로 낙인 찍히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다.

다만, 국익을 이유로 경쟁사의 영업비밀 침해를 인정받고픈 LG에너지솔루션의 사익을 희생할 근거는 없다. 누구든 다 이긴 싸움을 무승부로 만들고 싶지 않을 것이다. 그 절충점을 찾고 소모전을 멈추기 위한 도구가 바로 합의다. 피곤한 시청자가 원하는 최선의 결말이 ‘조기 종영’은 아닌지 양사가 잠시 되돌아 볼 필요가 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