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에서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으로 탄생할 보좌관 도입 움직임이 활발하다. 의원실 보좌관에 이어 국회 사무처에서 근무하는 AI 보좌관도 대상이다. AI 보좌관의 핵심인 AI 자동화 시스템은 2월부터 시험 운영에 돌입한다.

7일 국회에 따르면, 사무처는 최근 AI 기업 관계자와 만나 AI 보좌관 구체화 방안에 대해 심도깊은 논의를 했다. 각 의원실에 AI 보좌관 도입 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조사도 병행했다.

국회 사무처 한 관계자는 "현재 AI 수준이 사람을 대신해 보좌관 역할을 수행할 정도로 높지는 않다"며 "하지만 보좌관의 업무 효율을 높이는 수단으로 볼 수 있는 만큼 구체적인 도입 방안을 마련 중이다"고 말했다.

AI 보좌관 활용 방안은 지난해 조승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먼저 제안했었다. 그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사람 간 대면이 어려운 상황인데, AI 보좌관을 통한 시스템을 구축해 유권자의 후보에 대한 궁금증 해소와 정책 제안 등이 가능할 수 있다"며 "제한된 인원의 참모진으로 유권자의 모든 질의응답을 소화하기에 무리가 있는 만큼 AI 보좌관 도입을 계획했다"고 전했다.

조승래 의원실은 지난해 6월 국회의원실 AI 인턴 도입을 위한 간담회를 열기도 했다. 간담회에 참가해 배경 기술을 설명했던 소프트웨어 기업 ‘아이와즈’는 빅데이터 기반 AI 보좌관 시스템을 지속해서 개발 중이다. 자료를 수집·분석·요약해 보좌관의 보고서 작성을 지원하고 지역구 관리를 돕는 시스템이다.

 AI 보좌관 시스템 서비스 이미지 / 아이와즈
AI 보좌관 시스템 서비스 이미지 / 아이와즈
양중식 아이와즈 대표는 "사람의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빅데이터 기반 AI 자동화 시스템을 개발해 2월 시험 운영에 들어간다"며 "지난해 간담회에서 선보인 AI 보좌관 서비스는 해당 시스템을 기반으로 보좌관 업무에 맞춤화한 예시다"라고 말했다.

심재훈 미국 변호사는 "국회 사무처가 AI 보좌관 시스템에 대한 기술지원과 협조 제공의 주체라고 하면 국회 주도의 입법 관련 기술 발전의 계기가 될 수 있다"며 "입법 조사처와도 긍정적인 콜라보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심 변호사는 AI 보좌관 시스템 업체의 다변화가 필요하다고 봤다. 편성성 이슈 때문이다.

심 변호사는 "외주 방식으로 한 회사의 시스템을 사용할 경우, 대한민국 국회의원 보좌관 모두가 편향된 데이터와 알고리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며 "미국은 입법 시스템에 AI를 활용할 때 절대 하나의 회사와 계약하지 않고 여러 시스템을 두루 사용할 수 있게 해 상호 견제를 한다"고 밝혔다.

김동진 기자 communicati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