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가 당초 증권가 예상치를 뛰어넘는 분기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의 실적 전망치가 매출 61조2813억원, 영업이익 10조9741억원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어닝서프라이즈’로 풀이된다. 영업이익 절반 이상을 번 반도체사업(DS) 부문의 선전에 힘입은 결과다.

삼성전자는 7일 올해 2분기 매출 63조원, 영업이익 12조5000억원의 잠정실적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0년 동기 대비 매출 18.94%, 영업이익 53.37% 늘어난 규모다. 1분기 대비 매출은 3.65% 감소, 영업이익은 33.26% 증가했다.

매출은 2분기 기준 사상 최대다. 영업이익은 반도체 슈퍼호황기인 2018년 3분기(17조5700억원) 이후 11분기 만에 가장 많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 삼성전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 삼성전자
삼성전자는 1분기 영업이익 9조3800억원을 기록했는데, 이 중 반도체 부문은 3조4000억원에 그쳤다. 하지만 2분기는 12조5000억원의 영업이익 가운데 반도체가 절반이 넘는 7조원 이상을 책임지며 실적 개선을 견인한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실적 상승은 삼성전자 주력인 D램 가격 강세 등 슈퍼사이클 본격화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2분기 반도체 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수요가 지속되며 PC용 반도체 판매가 양호했다. 클라우드 기업들의 데이터센터용 서버 수요도 움직이면서 D램 메모리 반도체 가격이 상승세를 보였다.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에 따르면 4월 D램 고정거래가격은 최대 26%까지 올랐다. 2017년 반도체 슈퍼사이클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이다.

연초 미국 텍사스주 한파로 셧다운 된 오스틴 파운드리 공장이 5월 정상 가동되면서 1분기 발생한 손실도 최소화했다.

스마트폰 사업부문은 부진했다. 1분기 4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올린 IM 부문은 2분기 영업이익이 3조원 전후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된다. 1분기 조기 출시한 갤럭시S21 신작효과가 둔화한 여파다. 인도·베트남 지역 코로나19 확산으로 수요 감소와 생산 차질 영향도 받았다.

디스플레이(DP·삼성디스플레이) 부문은 스마트폰 생산 감소에도 9000억~1조원의 영업이익이 예상됐다. LCD 등 패널 가격 상승과 고객사(애플)의 일회성 보상금(5000억원 추정)을 반영한 결과다.

소비자가전(CE) 부문은 비스포크 시리즈 등 생활가전 부문이 선전했지만, LCD 패널 단가 상승으로 TV 판매 수익성이 떨어지며 1분기 영업이익(1조2000억원)에는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하반기 전망은 밝다. 증권가는 반도체 슈퍼사이클이 이어지는 3분기 삼성전자 영업이익이 15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한다. D램과 낸드플래시 가격은 3분기에도 10% 이상 상승할 것으로 예상돼 반도체 부문 실적도 반등할 것이란 분석이다.

삼성전자는 투자자들과 소통 강화 및 이해 제고 차원에서 경영 현황에 대한 문의사항을 사전 접수해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주주 관심도가 높은 사안에 대해 답변을 진행한다. 질문은 7일부터 29일 실적발표 콘퍼런스콜 전까지 삼성전자 홈페이지를 통해 접수할 수 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