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다른 통신 기지국 장비 업체의 기기를 연동해 쓸 수 있는 길이 열렸다.

KT는 6월 14일 미국 캘리포니아주 산타로사에서 열린 국제 오픈랜 표준화 단체 ‘오픈랜 얼라이언스’ 회의에서 오픈랜 연동 규격을 제안했는데, 이 규격이 7월 29일 표준으로 승인 받았다고 10일 밝혔다.

오픈랜 얼라이언스 표준회의 모습./ KT
오픈랜 얼라이언스 표준회의 모습./ KT
KT가 제안한 오픈랜 연동 규격은 서로 다른 제조사가 개발한 5G 기지국의 분산장치(DU)와 무선장치(RU)를 하나의 5G 기지국처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규격이다. 그간 오픈랜 얼라이언스에서 정의된 DU와 RU 간 개방형 인터페이스는 국내 5G 무선망에 직접 적용하기 어려웠다.

새 규격에는 국내 5G 무선망에서 송신과 수신 간 간섭을 막기 위해 송·수신 채널을 분리하는 시간 비율인 ‘상·하향 타임슬롯 구성비율’이 반영됐다. 기지국의 DU와 RU 의 연결인 프론트홀로 전송되는 무선 데이터의 용량을 압축하는 기술인 ‘데이터 압축’도 추가됐다. 국내 5G 무선망 환경에서 사용 중인 설정값과 구성 방식을 오픈랜 연동 규격에 반영한 것이다.

이종식 KT 융합기술원 인프라DX연구소장은 "오픈랜의 기술 지향점은 다양한 통신장비 제조사가 참여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데 있다"며 "앞으로도 KT가 확보한 오픈랜 기술력과 노하우를 공유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인애 기자 22na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