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력다소비 산업이 전기료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다. 전기료가 급격하게 인상됐고 추가 인상 가능성까지 대두되고 있기 됨에 따라 원가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산업계 일각에서는 전력산업기반기금 인하를 통해 부감을 감소해줘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산업계에 따르면 전력다소비 업계의 경영 부담이 커지고 있다. 가파르게 오른 전기세탓이다. 전기요금은 지난해 4월 ㎾h당 6.9원 올랐고 같은해 7월과 10월에 각각 5원, 16.6원 등 인상됐다. 올 1월에도 13.1원 올랐다.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 현대제철
현대제철 인천공장 전기로. / 현대제철
추가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대두되고 있다. 한국전력공사가 지난해 국회에 제출한 경영정상화 방안에 따르면 올해 전기요금을 1㎾h당 51.6원 올려야 한다. 이창양 산업통상자원부 장관도 속도조절은 하겠지만 동결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전력다소비 산업으로 분류되는 철강업계는 최근 탄소저감을 위해 전기로를 확충하고 있다. 전기로는 고전압이 걸린 전극에서 발생하는 아크 방전으로 고철을 녹여 쇳물을 생산하는 설비다. 탄소배출량은 고로의 25%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포스코의 경우 6000억원을 투자해 광양제철소에 전기로를 신설한다는 계획이며, 연간 1000만t 이상의 전기로 제품을 생산하고 있는 국내 최대 전기로 제강사인 현대제철은 독자적인 전기로 기반 탄소중립 철강 생산체제인 '하이큐브'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국내 최초 전기로를 도입한 동국제강도 탄소 저감형 하이퍼전기로 연구에 착수했다.

전기로의 효율이 좋다고 해도 고전압을 사용하는만큼 전기료에 대한 철강업계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특히 ㎾h당 1원이 오를 경우 100억의 부담을 져야한다는 분석이 나오는 만큼 전기로 비중이 높은 현대제철, 동국제강 등은 올해만 천억원단위의 전기료를 추가로 부담해야 하는 상황이다.

반도체 산업 역시 마찬가지다. 반도체 산업의 경우 대규모 양산 설비를 24시간 가동하기 떄문에 전력 소모가 크며 최첨단 공정일수록 전력소모가 크다. 실제로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국내 전력 소비량 1, 2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실적악화로 어려운 경영환경에 놓여져 있지만 전기료 인상으로 수천억원의 부담을 지게된 상황이다.

산업계에서는 전기료 부담으로 인해 경쟁력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이에 실질적인 지원책으로 전력산업기반기금 요율을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력산업의 발전 및 기반조성에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기 위한 기금으로, 전기요금(기본요금+전력량요금)에서 3.7%를 따로 징수해 적립하는 것이다.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 삼성전자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 삼성전자
전국경제인연합회에 따르면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올해 5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된다. 또 해당 기금 활용에 대한 비판도 제기되고 있는 만큼 산업계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요율을 인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산업계의 부감을 줄이기 위해 비슷한 개념의 부과금을 한시적으로 면제한 바 있다. 독일의 경우 재생에너지(EEG) 부과금을 지난해 7월부터 12월까지 한시적으로 부과를 중단했다. 영국도 녹색 부과금을 지난해 10월부터 올해 3월까지 부과하지 않았다.

한 산업계 관계자는 "전기료가 인상되면 전력산업기반기금 3.7%도 동반해서 상승하게끔 돼 있다"며 "기존의 운영하던 금액을 유지하는 차원에서 요율을 인하해주면 되는 것이다"고 밝혔다.

이어 "전력산업기반기금은 한국전력공사의 수익성과 상관없는 부분이다"며 "요율을 내려준다면 전력다소비 산업인 반도체, 철강, 석유화학 등 전력다소비산업뿐만 아니라 전국민에게도 이익이 될 것이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전기료 등 에너지 비용 폭탄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가 대승적으로 전력산업기반기금 요율을 인하해준다면 산업계뿐만 아니라 모든 국민들이 혜택을 볼 것이다"고 덧붙였다.

조성우 기자 good_sw@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