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RE100 달성을 위해서는 일관된 정책 기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주장이다.

17일 정택중 한국형 RE100 협의체 의장이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2023 탈탄소환경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 IT조선
17일 정택중 한국형 RE100 협의체 의장이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열린 ‘2023 탈탄소환경포럼’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 IT조선
RE100은 기업이 생산활동을 하며 쓰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사용하자는 캠페인이다. 재생에너지에는 ▲태양광▲풍력▲수력▲지열▲바이오▲그린수소발전이 해당되며, 원자력은 포함되지 않는다. 현재 참여 기업 수는 400곳을 넘었다. 최근에는 아시아권 제조기업이 많이 가입했다.

RE100 참여 기업들은 2050년까지 재생에너지 사용량 100%를 달성해야 한다. 정택중 한국형 RE100 협의체 의장은 IT조선이 17일 서울 웨스틴조선 호텔에서 개최한 ‘2023 탈탄소환경포럼’에서 "다른 이행 방식인 녹색프리미엄은 간편해서 현재 기업에 선호되고 있으나, 탄소배출권 대응이 불가하다는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올해 1월 1일부터 한전의 PPA(재생에너지 전력구매계약) 전용요금제 고시로 현재 모든 PPA 거래가 중단됐다. 이에 정택중 의장은 "새로운 정책이 뜬금없이 나오면 기업에 불신을 초래한다"며 "20년 정도의 장기 거래로 체결되는 PPA 정책이 계속 바뀌면 기업 입장에서 난감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또한 정 의장은 "국내 기업들이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RE100이라는 자발적 캠페인에 가담했지만, 소부장 제조기업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통상 압력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꼽은게 ▲시장의 불확실성 제거 ▲가격 경쟁력 확보 ▲공공의 지원이다.

글로벌 재생에너지 보급률은 20% 정도로, 7% 내외인 우리나라의 4배 수준이다. 특히 전기차가 대중화 되면 전기 사용량을 늘어날 수밖에 없고, 이를 위해선 더 많은 재생에너지 보급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는 "일본 정부가 2030년까지 보급률 22%로 설정하겠다는 가이드라인을 냇을 때 일본 기업인 소니나 파나소닉은 ‘그럴 경우 해외로 공장을 옮겨야 할 수 있으니 보급률을 올려달라’고 적극 제안해 38%로 보급률 목표치가 올랐다"며 "우리 기업도 이처럼 목소리를 내야 하고, 정부도 스스로 나서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국내 중소기업의 RE100 대응력을 높이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에 그는 "공공에서 정부 및 지역의 RE100 지원을 통해 지역과 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대기업을 위해서는 시장의 불확실성 해소가 선결 과제다. 가격 문제가 해결되려면 재생에너지 보급률을 늘려야 한다는 것.

이 외에도 그는 해외로부터 넷제로 이행 요구가 가속화될 예정이라는 점을 들며, "한국형 RE100은 재생에너지 확대와 에너지효율화 병행을 위한 기술 중심의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고 했다. 개별기업의 대응뿐 아니라 산업별, 대중소기업 등이 힘을 합쳐야 한다는 것.

RE100 협의체는 2020년 RE100 포럼으로 시작한 단체다. 현재 정부의 정책 개선 용역뿐 아니라 세미나, 포럼 등 RE100 정보를 기업과 주고 받는 역할을 맡고 있다.

박소영 기자 sozero@chosunbiz.com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