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행들이 대환대출 고객잡기에 적극 발벗고 나서고 있다. 타사 고객을 포섭해 권역을 넓히는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궁극적으로 제2금융권 대출자를 포섭, 보다 낮은 금리를 제공함으로써 금융당국이 강조하는 ‘상생금융’도 실현할 수 있어 일석이조다.

하지만 대형은행 대비 연체율이 2배나 높은 상황에다, 가뜩이나 이 마저도 계속 오르는 추세여서 적극적인 대환대출 유치가 건전성에 도움이 되지 않을거라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왼쪽부터) 부산은행, 대구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전경. / 각 사
(왼쪽부터) 부산은행, 대구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전경. / 각 사
3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방은행들이 개인신용대출 대환대출 상품을 속속 내놓으며 고객 유치에 나서고 있다. BNK부산은행과 경남은행, DGB대구은행 등은 제2 금융권의 고금리 대출을 중금리 상품으로 대환해주는 신규 상품을 출시했다.

부산은행은 제2금융권 고금리 대출을 연 최저 6% 금리의 대출로 바꿔주는 ‘따뜻한 상생대환 새희망홀씨 대출’을 출시했다. 경남은행은 연 최저 7% 초반, 한도 최대 2000만원 이내의 '고금리 대환 대출'을 내놨다. 대구은행은 연 최저 6%, 최대 3000만원까지 지원하는 'DGB 2금융권 대환대출'을 판매 중이다.

대구은행 관계자는 "은행 입장에서는 이자를 조금 더 받을 수 있는 여지가 있다"며 "금융 소비자 입장에서는 제1금융권 대출 상품으로 갈아타면 금리를 절감할 수 있어 (당국에서 말하는) 상생에 부합한다"고 했다.

JB금융지주 산하 광주은행과 전북은행은 신규 상품을 출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존 대환대출 서비스로 대출 상품 조회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타사 신용대출을 받은 고객이 광주·전북은행 대출로 갈아탈 수 있다.

/ 각 사
/ 각 사
문제는 이들 은행의 건전성이다. 지난 1분기 5대 지방은행(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은행)의 평균 연체율은 0.57%로 KB국민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대형 5대 시중은행의 두배 정도다.

BNK금융지주의 부산은행은 지난해 1분기 0.2%에서 올해 동기 0.33%, 경남은행은 같은 기간 0.29%에서 0.33%가 됐다. DGB금융지주의 대구은행은 지난해 1분기 0.3%에서 지난 1분기 0.54%로 올랐다.

JB금융지주의 건전성을 우려하는 시각이 적잖다. 산하 광주은행은 지난해 1분기 0.29%였던 연체율이 올해 0.46%로 뛰었다. 가계 연체율이 0.67%로 기업 연체율 0.34%보다 높았다. 지난해 1분기와 비교하면 가계(0.23%)와 기업(0.33%) 연체율이 역전됐다. 전북은행은 5대 지방은행 중 연체율이 가장 높았다. 전북은행의 지난해 1분기 연체율은 0.57%, 올 1분기에는 1.19%가 됐다.

지방은행의 대환대출 유치는 금융당국의 역점사항이기도 하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난 3월 부산은행 본점에서 열린 간담회에 참석, "어려운 시기를 겪는 중소기업·소상공인의 고통을 분담하기 위한 은행권의 자발적인 노력이 절실하다"며 "지역사회와의 동행을 통해 선순환의 구조를 만드는 지방은행의 따뜻한 금융이 필요하다"고 지방은행의 상생금융 실천을 재차 강조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서울권의 대형은행과는 사정이 달라 관심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나민욱 DS투자증권 연구원은 "그룹 전체 건전성 지표가 악화해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며 "그룹 연체율이 전북은행과 캐피탈 중심으로 빠르게 상승 중인데, 주된 원인은 개인 신용대출 연체 규모 확대와 서민금융진흥원 보증부대출 연체 영향"이라고 파악했다.

이 같은 우려에 대해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신용대출 대환 상품이기 때문에 대출 한도가 높지 않아 큰 영향을 미치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답했다.

박소영 기자 sozer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