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정부는 인공지능(AI) 대학원에는 20억을 지원하는데 대학 정보보호학과에는 4분의 1 수준인 4억 5000만원씩 지원하고 있습니다. 국가 안보수준을 좌우하는 사이버보안 인재양성도 중요한 숙제로 다뤄야 합니다"

원유재 한국정보보호학회 회장이 31일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열린 사이버보안 민‧관‧학‧연 전문가 간담회에서 밝힌 말이다.

31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사이버보안 민‧관‧학‧연 전문가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이인애 기자
31일 오전 10시 국회 의원회관 제4간담회의실에서 ‘사이버보안 민‧관‧학‧연 전문가 간담회’가 진행되고 있다./ 이인애 기자
원유재 회장은 "우수한 인재들이 사이버 보안 분야에 지원할 수 있도록 유인책이 만들어져야 된다"며 "정보보호 산업은 학생들이 바라볼 때 선망의 기업이 아니다. 예타가 잘 돼서 국내 정보보호 산업이 발전해야 인재들이 모일 것이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5년간 3917억원 규모로 보안 대응 기술개발 사업을 추진하기로 하고, 다음 달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공모에 신청할 예정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비롯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정보통신기획평가원(IITP),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주무 부처와 연구기관이 참석했다.

학계에서는 서울대학교와 한국정보보호학회가, 산업계에서는 안랩· NSHC·이스트소프트·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가 참석해 현장의 목소리를 전했다.

간담회를 주최한 박완주 의원은 "최근 LG유플러스의 고객정보 약 29만 건이 유출되고 총 5차례의 디도스 공격으로 약 2시간 동안 접속 장애 등 사이버침해사고가 지속되면서 사회적 불안 고조와 혼란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이번 간담회를 통해 민·관·학·연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인 만큼 사이버보안 글로벌 기술경쟁력 확보를 위한 방향에 대해 모색하는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문성준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감사는 "실제적인 국내 보안시장 규모는 우리나라 경제규모에 비해 떨어진다"며 "2022년 국내 정보보호 시장이 5.2조라고 하는데 미국의 기업 하나 규모에도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국 사이버보안이라는게 이런 상황이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산업계에서는 기존 보안업체들의 스케일업이 국내 보안기술 발전에 중요한 요건이라고 보고 있다"며 "우리나라는 아이디어나 기술은 가지고 있지만 자본투자가 부족하다. 보안기술이 제값에 팔릴 수 있도록 제도개선도 필요하다"고 전했다.

전성학 안랩 연구소장은 "(보안 인력으로)양성된 인력들이 다 어디갔나 보면 보안산업에 남아있지 않다. 네이버, 카카오 등 서비스 대기업으로 다 가있다"며 "병역특례 인력을 받아도 3년이면 다 사라진다. 길어야 3년 근무하고 네이버나 카카오, 삼성, 현대차 등 대기업으로 가버린다"고 토로했다.

이어 "정부가 인력양성 사후결과도 확인해봤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정부 지원을 받은 인재들이 정보보안업계에 남아있는지 인력양성 후에 어디에 근무하는지도 조사해봤으면 좋겠다는 의견이다.

김의탁 이스트소프트 정보보호연구소장도 "인력풀은 줄고 있지만 보안기술을 좋아하는 친구들을 양성 하면 보안업계를 떠나지 않고 오랫동안 남아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현실적으로 급여나 처우를 대기업처럼 줄수는 없다. 실력이 되면 대기업으로 가는것이 어쩔수없다고 생각하지만 그래도 사내에서 교육을 많이 해야 순환이 된다고 생각해 열심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무부처인 과기정통부 김경우 정보보호기획과장은 "결국 돈이다. 예산은 한정돼 있고 나눠 가져야한다. 보안쪽 예산을 키워달라고 요구는 항상 하고있지만 다른분야에 비해 빛이 덜나는 측면이 있어 밀리는 측면이 있다"며 "부처 내 보안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커 예타 우선순위로 올 수 있었다. 인력양성도 그같은 기조로 밀고 나설 예정이다"고 전했다.

이날 박완주 의원은 "보안기업의 인프라가 열악해 전문인력 수급에 대해 어려움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통해 경쟁력 하락이라는 뼈아픈 현실을 느꼈다"며 "사이버보안 분야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과감한 예산지원, 제도개선 등을 통해 기업 경쟁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

이어 "인력양성은 12대 국가전략기술 분야별 근본적 문제인만큼 범정부적 차원에서 협업해 해결하는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이인애 기자 22nae@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