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티 존 메이어 볼보車 디자인센터장 "볼보차 디자인 핵심은 '인간 중심'"
"볼보자동차 디자인 핵심은 ‘인간 중심’ 입니다. 자동차는 차 안의 운전자, 차 밖의 보행자 모두 배려해야 합니다."
신형 S60 출시차 방한한 티 존 메이어 볼보자동차 디자인센터장은 브랜드 디자인의 핵심가치를 묻는 질문에 ‘사람'이라고 말했다. 볼보차하면 떠오르는 ‘안전’과 ‘스칸디나비아 스타일'을 관통하는 개념은 결국 사용자인 인간이라는 이야기다.
‘안전'만큼이나 볼보를 설명하는 수식어 중 하나가 ‘스칸디나비아 스타일'이다. 간결하면서도 고급스러운, 역동적인 외관과 안락한 실내가 공존하는 볼보차의 디자인이 최근 브랜드 성장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존 메이어 센터장은 "세련되면서도 과장되지 않은 디자인을 하려 노력한다"며 "면과 선을 자신감 있게 구사하고 좀 더 고급스러운 디자인을 추구한 결과가 유럽과 미국은 물론 한국 소비자분들께도 잘 전달된 것 같다고 느낀다"고 말했다.
26일 국내 출시한 신형 S60은 ‘스몰 럭셔리'로 불리는 D세그먼트 세단에 속한다.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분야 중 하나다.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BMW 3시리즈 등 쟁쟁한 경쟁자들이 즐비하다. 메이어 센터장은 이전까지 독일차들과 경쟁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는 점을 시인하는 한편, 신형 S60의 디자인을 시작한 첫날부터 ‘신형 S60으로 D세그먼트 분야의 리더십을 가져와보자’며 다짐했다고 전했다.
최근 디자인 변화의 요인 중 하나로 신규 플랫폼 SPA(Scalable Product Architecture)를 꼽기도 했다. 볼보차는 전륜구동에 가로형 엔진 배치로 역동적인 디자인을 표현하는 데 제약이 많았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SPA 플랫폼은 후륜구동차와 유사한 실루엣을 염두에 두고 개발, 차 뼈대부터 역동적인 디자인을 구현할 준비가 되어있었다고 그는 덧붙였다.
인터뷰 말미 메이어 센터장은 "D세그먼트야 말로 소비자가 구매했을 때 가장 이익을 보는 차"라며 짐짓 너스레를 떨었다. 안전 등 법률 규제, 기술적인 제약 등이 많아 디자이너 입장에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지만, 반대로 소비자 입장에서는 자동차 회사가 가장 신경써서 만든 차가 D세그먼트라는 설명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