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만 보안인재 양성 나선 尹정부, 예산도 역대 규모 전망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5년 간 산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0만명 규모의 사이버 보안 인재를 양성한다. 관련 예산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역대 최대 규모일 가능성이 높다. 사이버인력 10만명 양성은 국정과제 중 하나다.
윤석열 대통령은 13일 경기도 판교에서 열린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 참석해 사이버안보 강화에 대한 의지를 표명했다. 윤 대통령은 정보보호의 날 기념식에 직접 참여한 첫 대통령 타이틀을 갖게 됐다.
탈피오트는 이스라엘의 엘리트 과학기술 전문장교 프로그램이다. 윤 대통령은 ‘유럽 사이버범죄 협약’ 일명 부다페스트 협약 가입을 신속히 추진해 사이버 범죄 퇴치와 사이버 규범 수립을 위한 국제공조에도 적극 나서겠다는 정부의 의지도 밝혔다.
이를 위해 융합보안대학원과 정보보호특성화대학을 확대·개편해 1만명을 양성한다.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한 특화 교육은 ▲최정예 보안제품 개발과정 ‘S-개발자’와 정예 화이트해커를 양성하는 ‘고급’▲중급 화이트해커(화이트햇 스쿨)와 시큐리티 아카데미를 통해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는 ‘중급' ▲ICT 융합 보안교육을 확대하는 ‘초급' 등으로 등급을 구분했다.
또 실전형 사이버 공격과 방어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이버 훈련장'을 현재 1개에서 5개로 늘린다. 2만 5000명의 재직자의 역량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상대적으로 보안역량이 부족한 지역의 중소기업을 위한 지역 교육을 통해서도 2만 6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김정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프트웨어정책관은 백브리핑에서 "사이버 전이 그 어느 때보다 심각한 상황이며, 대기업들의 해킹공격과 비대면 환경 확산과 같은 전반적인 위기상황을 반영해 전략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윤 대통령의)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고 있다"며 "탈피오트 예비군 제도는 국방부와 계속 협의를 해나갈 것이며, 예비군 훈련도 총격 대신 사이버 훈련장에서 훈련받게 하는 방법 등도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아직 정부제출안이 확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구체적 숫자를 언급할 수 없지만 사이버 인재 양성 관련 예산 이전보다 대폭 확대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화이트해커, 군, 경찰, 사이버보안 기업들과 '사이버 인재 양성 간담회'도 진행했다. 간담회에서는 민·군·경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하는 청년 인재들과 함께 우리나라의 사이버 인재 육성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