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구글, '앱 가로채기' 국감 전에 멈췄다… 원스토어 "소송 검토"
업데이트 기능을 이용해 ‘앱 가로채기’를 했다는 의혹을 받던 구글이 국정감사를 앞두고 이를 수정한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업계는 그 동안 해당 문제에 무대응으로 일관하던 구글이 인앱결제 문제로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되는 등 정치권으로부터 압박이 거세지자 문제 소지를 줄이려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업계는 구글의 앱 가로채기는 2019년도부터 이뤄졌다고 추정한다. 실제 구글 플레이스토어를 확인하면 2019년 즈음 해당 문제로 피해를 본 피해자들의 글을 확인할 수 있다.
원스토어 관계자는 "구글의 앱 이용자 가로채기는 원스토어에서 받은 앱의 이름과 버전이 구글플레이스토어와 동일하면 이뤄졌다"며 "이 경우 원스토어에서 설치한 앱이 구글플레이스토어에서 업데이트하면서 구글 버전으로 변경된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경쟁사의 해당 문제 제기에 무대응하던 구글이 이를 바로 수정한 배경으로 국정감사를 꼽는다.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가 국정감사 증인으로 채택되자 문제 소지를 줄이려 했다는 것이다.
실제 김경훈 구글코리아 대표는 10월 21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윤두현 국민의힘 의원이 "원스토어에서 구글로 앱 이용자 가로채기한 것을 알고 있냐"고 묻자 해당 문제를 해결 했다고 당당히 답했다. 김경훈 대표는 "해당 문제를 알고 있지만 지금은 사라진 것으로 알고 있다"며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치를 취했다"고 말했다.
원스토어는 구글의 앱 가로채기 문제와 관련해 소송까지 고려하고 있다. 원스토어 관계자는 "구글의 앱 이용자 가로채기에 대해 법적 조치를 포함한 모든 대응을 검토하고 있다"며 "구글 측은 문의에 회신을 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변인호 기자 jubar@chosunbiz.com